※동의어 : 자바의 기본 자료형
기본형 타입
변수는 실제 연산에 사용되는 변수이며, 계산을 위해 실제 값을 저장한다.
자바에서는 다음과 같이 8가지 종류의 기본형 타입
변수를 제공한다.
byte | 1 byte | 2 byte | 4 byte | 8 byte |
---|---|---|---|---|
정수형 | byte | short | int | long |
실수형 | float | double | ||
문자형 | char | |||
논리형 | boolean |
- 비트(bit) : 데이터의 기본 단위 (ex. 1bit)
- 바이트(byte) : 메모리의 기본단위 (바이트 단위로 저장)
- 1byte = 8bit (-128~127개의 정수, 256개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동의어 : 객체형 변수
, 객체형 타입
, object
참조형 타입
변수는 기본형 타입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를 말한다. 객체의 주소를 저장하며, null
또는 객체의 주소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클래스, 프로그래머가 스스로 만든 클래스, 배열, 열거 타입 등을 모두 참조형이라고 한다.
-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
- Class: 객체를 설계하기 위한 설계도, 사용자 정의 타입
- 참조 타입 변수는 객체의 주소값을 대입:
new
- new
- 객체 생성 연산자
- String str1=new String(”문자열”);
null
로 초기화 시킬 수 있다.Heap
이라는 공간에 실제 값을 저장한다.// 방법 1
int num; // int 형의 데이터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변수 num을 선언했다.
num=10; // int형 변수 num을 10으로 초기화 했다.
// 방법 2
int num1=10; // int형 변수 num1을 선언하고 10으로 초기화 했다.
(다른 프로그램 언어도 거의 동일한 규칙을 따름)
int int=10; // int를 사용하기로 예약이 되어있는데 int를 넣어서 에러
int 1num=10; // 숫자로 시작해서 에러
int num1=10; // 숫자를 뒤에 넣었기 때문에 가능
int num 1=10; // 공백이라 에러
int num@1=10; // _ $ 이외의 특수문자가 들어가서 에러
int num=10; // 가능은 하나, 소문자로 시작하는 것이 개발자 사이의 약속
int NUM5=10; // 가능은 하나, 소문자로 시작하는 것이 개발자 사이의 약속
int startNumber=10; // start 와 number 둘다 문자적인 의미가 있기에 N에 대문자
int 변수1=10; // 한글을 쓴다고 에러가 나지는 않지만, 쓰지 않는 것이 개발자 사이의 약속
int num2nume=10; // 가능
int num_1=10; // 가능
int $num1=10; // 가능
int num=10 // ;이 빠져서 에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