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개발(Development) + 운영(Operations)
소프트웨어 운영의 협업, 자동화 및 효율화를 통해 더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론이자 문화
목표 :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 속도를 높이고, 품질을 개선하는 것

plan (우선 순위등을 설정하는 단계, 지라, 노션 등을 사용. 계획 단계)
code (개발자들이 실제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 코드로 구현하는 단계)
build (코드를 컴파일 및 실행 가능한 아키펙처를 만드는 단계. ex 자바의 .jar 파일. 잼킨스, 깃헙액션 등을 사용. 로컬의 경우 메이븐 등 사용)
test (테스트 단계. 코드안의 단위 테스트X(이건 빌드 단위). 요구사항과 일치하는지 확인. 성능 테스트도(부하를 어디까지 버티는지) 포함. QA팀이 보통 수행)
release ( 배포된 SW를 실제 유저에게 배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
deploy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단계)
operate (운영)
monitor (모니터닝, 문제나 장애등을 발견해서 대응하는 단계)

데브 시큐리티 옵스 (시큐리티가 추가)
CI/CD : 데브옵스가 하는 업무 중 하나
CI :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
CD : Continuous Delivery 지속적 제공
CD :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
자동화 시키는 것이 목표
스크립트 짜는 것을 많이함
자동화 도구를 활용 → 배포 속도 높이기 → Human Error 줄이기 → 안정성 확보
지속적인 통합(CI), 지속적인 배포(CD) 파이프라인 → 새로운 기능을 더 자주, 빠르게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
지속적인 통합 (CI) :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들이 자동적으로 테스트 및 배포
지속적인 배포 (CD) : 이러한 변경사항들이 자동으로 배포되는것
팀간 경계 허물기 (개발팀과 운영팀) → 협력 강화
실시간 모니터링 및 로그 분석 도구 → 문제 조기 발견 → 신속한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