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의 기본 개념이 되는 핵심 기술
두개이상의 컴퓨터 or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공유하고 통신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 노드 Node
-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 or 시스템
- 컴퓨터, 서버, 프린트, 라우터, 스위치
- 종단 노드/ 네트워크 노드
- 링크 Link
- 라우터 Router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
-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경로로 전달
- 내부에는 라우팅 테이블로 최적의 경로를 찾는다
- 스위치 Switch
- 장치들을 연결하는 장치
- 장치로 데이터를 특정 장치로 전달
- 허브 Hub
-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장치
- 방화벽 Firewall
- 보안 관리
- 허용된 트래픽만 네트워크에 들어오도록 제한하는 장치
네트워크 종류
- PAN
- Personal Area Network
- 개인 통신망
- 개인 장치들 간 연결
- LAN
-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
- 제한된 지역(가정, 사무실 , 건물 내 등)을 연결
- 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무선 근거리 통신망
- LAN의 무선 버전
- 장치들이 Wi-Fi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
- WAN
- Wide Area Network
- 광역 통신망
- 넓은 지리적 범위(도시, 국가, 전세계)를 연결
네트워크 토폴로지
네트워크 요소들을 물리적/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방식
네트워크 장치들이 어떻게 연결어 있고, 데이터들이 어떤 경로로 전송되는지
- 버스 토폴로지 (Bus Topology)
- 모든 장치가 단일 중앙 케이블에 연결된다.
- 중간에 단일 케이블
- 소규모 네트워크
- 설치가 쉽다.
- 확장성이 떨어지고 장치 추가가 어려울 수 있다.
- 스타 토폴로지 (Star Topology)
- 중앙 스위치 또는 허브를 통해 모든 장치가 연결된다.
- 중앙에 스위치나 라우터를 통해 트래픽을 분배
- 모니터링이 용이함
- 중앙의 장치에 의존도가 너무 높다
- 링 토폴로지 (Ring Topology)
- 모든 장치가 순환 구조로 연결되어 데이터가 한 방향으로 흐른다.
- 한 장치가 문제가 터지면 전체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 메시 토폴로지 (Mesh Topology)
- 모든 장치가 서로 연결된 형태
- 높은 신뢰성과 확장성을 제공한다.
- 설치가 복잡하다
네트워크 계층 모델
OSI 7계층 모델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하드웨어적 연결을 담당
- 전기 신호나 물리적 케이블 등을 다룬다.
-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계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물리적으로 연결된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데이터를 목적지로 라우팅하고 IP 주소를 관리한다.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데이터의 신뢰성과 흐름을 관리하며, TCP나 UDP와 같은 프로토콜을 다룬다.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TCP/IP 모델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 OSI 모델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인터넷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 OSI 모델의 응용, 표현, 세션 계층을 포함
프로토콜
- 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인터넷 및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기본 프로토콜
-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
- IP 주소를 기반으로 장치 간 통신을 관리
- HTTP/HTTPS
- Hypertext Transfer Protocol/Secure HTTP
-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 FTP
-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이메일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