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my_string에서 중복된 문자를 제거하고 하나의 문자만 남긴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new Set() 메서드를 사용하여 중복을 제거하였다.
function solution(my_string) {
return [...new Set(my_string)].join("");
}
숫자들이 공백으로 구분된 문자열이 주어집니다. 문자열에 있는 숫자를 차례대로 더하려고 합니다. 이 때 “Z”가 나오면 바로 전에 더했던 숫자를 뺀다는 뜻입니다. 숫자와 “Z”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질 때, 머쓱이가 구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s 배열값이 Z이면 splice 메서드를 사용하여 바로 앞 인덱스부터 2개를 제거하였다.
s 배열이 더이상 Z를 포함하지 않을때까지 반복문을 돌렸다.
마지막으로 배열의 남은 숫자들을 더해준 값을 리턴하였다.
function solution(s) {
s = s.split(" ");
while (s.includes("Z")) {
s.splice(s.indexOf("Z") - 1, 2);
}
return s.reduce((a, b) => a + Number(b), 0);
}
머쓱이는 친구들과 369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369게임은 1부터 숫자를 하나씩 대며 3, 6, 9가 들어가는 숫자는 숫자 대신 3, 6, 9의 개수만큼 박수를 치는 게임입니다. 머쓱이가 말해야하는 숫자 ord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가 쳐야할 박수 횟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function solution(order) {
return [...order.toString()].filter(
(el) => el === "3" || el === "6" || el === "9"
).leng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