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todo check
오피스아워 호용님
HTTPS
왜 쓰는가?
=> 기밀성 Privacy / 무결성 Intergrity을 유지하려고
읽을 수 없음(암호화) / 조작되지 않음
HTTP의 약점, 중간자 공격에 취약, 보안에 약함 (http 메세지를 통해 사용자 중요정보를 해킹 가능)
대칭키 암호화 vs 비대칭키 암호화 차이점
암호화/복호화 키가 같음 | 다름
비대칭키가 키를 공유하기가 쉬우니 (대칭키를 공개하면? 보안의 의미가,,?)
HTTPS의 경우,
공개키 - 암호화 / 개인키 - 복호화 용으로 씀
인증서는 무엇을 보장하나?
브라우저에서 접속한 서버가 "의도한" 서버임을 보장 (신분보장)
인증서: 공개키가 포함됨/ CA에 의해 발급됨(브라우저는 CA정보,암호키 가지고 있음)
브라우저와 서버가 통신할때,
암호화할 수 있도록 서버의 공개키 제공
참고 사이트: https://howhttps.works/ko/
hash 특징
쿠키 🍪
HTTP의 stateless 한 특성을 보완 / 상태유지
* 개발자 도구/App/쿠키 살펴보기
스프린트-Auth-session
/Client-session
1 Controller/users/Mypage.js 에서
캐치를 쓰면 콘솔로그 에러로 프롭스의 로그아웃핸들러를 인식을 못하던데
axios.post('로그인url',{userId:,password})
.then(res=> { ...
})
.catch(err => console.log(err)
TypeError: props.logoutHandler is not a function
then 안에서 조건문 밖의 처리를 잘못했나?
2 클라이언트 실행시켜서 확인해보면 localhost임에도 inValid 메세지_mkcert로 만들어준 인증서가 신뢰 못할 놈은 맞지만, 내컴인데?! sameSite도 상관없을 거고 뭐지?
참고자료
express-session 다뤄보기 : https://dev-dain.tistory.com/68
req.session.num = 1
이런식으로 세션에 값을 직접 넣는다는 것,
Docs https://github.com/expressjs/session#reqsession
req.sessionID 는 connect.sid의 alias
req.seesion.save()
req.session.destroy() //등 저장, 지울 때 메소드 사용
리액트 공식문서 주요개념 파트
읽고 노션정리 + 기능단위, 파일에 코드 모음
처음 렌더링 될때마다, 마운팅
componentDidMount() / componentWillUnmount()
마운트/ 언마운트 될때마다 이런 "생명주기 메소드"들을 이용해서
특정한 함수를 실행시킨다던지 할 수 있는데,
요런것도 약간 라떼의 방법들인듯?
오늘 읽은 파트는 전부 class 형 기준에 다소 낡은? 부분이 되버리지 않았나, 해당 내용을 함수형으로 바꿔봐야겠음
+ binding
코딩애플
let history = useHistory() //history.goback() //.push('특정경로')
useParams()
/:id 파라미터 활용 + Switch수연님 꿀팁
Reactjs code snippet
preference/user snippet / 형식 복붙 - 단축키!
함수형 컴포넌트 기본폼
+ ngrox 써보기
+ Sass 사용법 알기
+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 확대,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