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vs Spring Boot
참고 블로그
MVC 패턴
MVC 패턴은 Spring 프레임워크와 JSP(Java Servlet Page)를 사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서 가장 즐겨 사용되는 개발 방식이다.
Model
Model은 데이터,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는 컴포넌트이다.
View
View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 즉 UI(User Interface) 영역을 의미한다.
Controller
Controller는 Model과 View 사이를 연결해 주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한다.
MVC 패턴 적용 시나리오
- 브라우저 화면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전달받아 서비스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
- 서비스는 JPA Repository를 이용하여 전달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INSERT 한다.
- INSERT 수행 후 컨트롤러는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다시 조회한다.
- 조회한 데이터를 모델 객체를 통해 뷰에게 전달한다.
- 화면에 변경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Spring 개발환경 세팅
참고 블로그
1. Maven Project 생성하기
# 1-1. New -> Other... -> Maven > Maven Project 선택
# 1-2. Maven web app 프로젝트 선택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면 Configure...
눌렀다가 팝업 창 닫고 다시 시도해본다.
# 1-3. Group ID와 Artifact ID 입력
Group ID에는 전체 프로젝트의 구분자 (Ex. 회사이름 or 학교이름...)를 넣어주고,
Artifact ID에는 프로젝트 이름을 넣어준다.
2. Tomcat Library 추가하기
Maven 프로젝트 생성을 완료하면 위와 같은 Error가 나타난다.
그 이유는 서버인데 Tomcat을 추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2-1. 프로젝트 위에 마우스 우클릭하여 Properties -> java build path -> Libraries로 이동한 후, Add Library를 클릭한다.
# 2-2. Server Runtime 선택
# 2-3. Tomcat 8.0 선택 후, Finish
# 2-4. Apply and Close
Error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Server로 실행하기
# 3-1. 프로젝트 위에 마우스 우클릭 후, Run As -> Run on Server 선택
# 3-2. Tomcat을 선택한 후 Finish
실행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