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드마인(Redmine) 은 웹 기반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 으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하여 레드마인 서버 구축이 가능 하다.
레드마인(Redmine) 역시 워드프레스와 옵션 이름 정도만 다르고 거의 같은 구성을 띤다. 레드마인을 MariaDB 와 연동해서 레드마인 서버 구축을 진행해보자.
MariaDB는 MySQL 개발자가 만들었기에 MySQL과 거의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MariaDB 컨테이너의 옵션은 MYSQL과 동일하다. 자세한 사항은 실습을 하며 확인하자.
| 항목 | 설정값 |
|---|---|
| 네트워크 이름 | redmine000net3 |
| MariaDB 컨테이너 이름 | mariadb000ex15 |
| MariaDB 이미지 이름 | mariadb |
| 레드마인 컨테이너 이름 | redmine000ex16 |
| 레드마인 이미지 이름 | redmine |
우선 MariaDB, 레드마인 컨테이너 간 연동 을 위해 도커 네트워크 를 생성한다.
jpark@LAPTOP-3H85AI8N:/mnt/c/WINDOWS/system32$ docker network create redmine000net3

레드마인 컨테이너에 연동할 MariaDB 컨테이너를 생성 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 처럼 MySQL 컨테이너 생성과 거의 동일하다.
jpark@LAPTOP-3H85AI8N:/mnt/c/WINDOWS/system32$ docker run --name mariadb000ex15 -dit --net=redmine000net3
-e MYSQL_ROOT_PASSWORD=mariarootpass -e MYSQL_DATABASE=redmine000db -e MYSQL_USER=redmine000kun -e MYSQL_PASSWORD=rkunpass mariadb
--character-set-server=utf8mb4 --collation-server=utf8mb4_unicode_ci --default-authentication-plugin=mysql_native_password

MariaDB 컨테이너와 연동하여 레드마인 컨테이너를 생성해보자. 레드마인 컨테이너의 포트 번호는 3000 이다.
docker run --name redmine000ex16 -dit --net=redmine000net3 -p 8080:3000
-e REDMINE_DB_MYSQL=mariadb000ex15 -e REDMINE_DB_DATABASE=redmine000db -e REDMINE_DB_USERNAME=redmine000kun
-e REDMINE_DB_PASSWORD=rkunpass redmine

웹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80 에 접근해서 레드마인 초기 화면이 출력되는지 확인해보자. 다음의 설치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동작 중인 것이다.

실습을 모두 마친 후, docker stop, rm, docker network rm, docker image rm 으로 컨테이너, 네트워크, 이미지를 제거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