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CLI (Command Line Interface)는 GitHub의 기능을 터미널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브라우저를 열지 않고도 GitHub에서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고, 이슈와 풀 리퀘스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GitHub CLI의 기본 사용 방법과 Git 명령어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h --version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세요.인증하기:
처음 GitHub CLI를 사용할 때는 GitHub 계정으로 인증해야 합니다. 터미널에서 gh auth login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레포지토리 생성하기:
gh repo create [레포지토리 이름]
명령어를 사용하여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레포지토리 복제하기:
gh repo clone [레포지토리 소유자/레포지토리 이름]
명령어를 사용하여 레포지토리를 로컬 시스템에 복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h repo clone octocat/Spoon-Knife
명령어를 사용하여 octocat 사용자의 Spoon-Knife 레포지토리를 복제할 수 있습니다.
이슈 관리하기:
gh issue create
명령어를 사용하여 새 이슈를 생성하고, gh issue list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슈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풀 리퀘스트 관리하기:
gh pr create
명령어를 사용하여 새 풀 리퀘스트를 생성하고, gh pr list
명령어를 사용하여 풀 리퀘스트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Hub CLI는 GitHub 작업을 더욱 효율적이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기본적인 명령어들을 익혀 GitHub CLI를 활용해 보세요.
직장 동료분의 추천으로 github cli 써보기 시작했는데 이 글이 너무나도 도움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