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Server http를 통해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들이고, 요청에 따라 웹페이지, 이미지,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 웹 서버 선택 시에는 프로젝트의 요구사항, 인프라 환경, 개발팀의 경험, bill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
건물을 지었는데 거기에 층과 방이 구분이 되지않아서 한 회사만 사용하고 있다. 아주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층, 방을 나누는 공사를 해서 여러 가족들이 살고 회사가 들어온다. 각각의 방이 VM인것이다. VM ware는 건물이다.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로 VM을 가능하게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게 먼저 server 와 domain을 생성한다. www.abc.com이라는 domain을 생성해서 port mapping까지 완료 되었다는 가정하에 진행 하겠다. (server os = ubuntu 24.04LTS) 터미널에서 ssh roo
This post explains how to handle errors when deploying to production servers after development and testing, and outlines strategies for backup and rol
3년가까이 묵은 프로젝트가 계속 상용되고 있는데 이번에 서버도 이전하면서 커널 업그레이드를 한다고해서 먼저 dependency 업그레이드를 하자고 했다. fe 프레임워크는 next.js , be는 nest.js를 사용중이다. 두개의 프레임 워크도 버전이 매우 낮지만
아, 이해했습니다. 'displaylink-driver' 패키지를 찾을 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했네요. 이는 이 패키지가 Ubuntu의 기본 저장소에 없기 때문입니다. DisplayLink 드라이버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다음 순서대로 진
본인의 server는 Ubuntu 24 Lts버전을 사용중이다.초기 셋팅에서 nvm으로 node를 16버전을 설치하였고 최근 22.14.0버전으로 node버전을 업그레이드 햇다.기본 시스템 Node.js 버전: v16.15.1nvm으로 설치한 버전: v22.14.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