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DB / 0809

zio도미닉·2021년 8월 10일
0

TIL

목록 보기
1/6
post-thumbnail

TIL : 스키마

  • 데이터 베이스 강의 듣기
  • 알게 된 내용
    • 스타 스키마
    • 스노우 레이크 스키마 (눈송이 스키마)
    • Denormalized Schema (역 정규화된 스키마)
  • 느낀 점

스타 스키마

  • 데이터 웨어하우스 스키마 중 가장 단순한 종류의 스키마
  • Join 스키마라고 불림
  • 하나의 사실 테이블을 중심으로 다수의 차원 테이블들로 구성
  • FACT 테이블 : 보통 제 3정규형
  • Dimension 테이블 : 보통 역 정규화된 제 2정규형

https://jmkim.tistory.com/84

  • Production DB 관계형 DB에서는 보통 스타 스키마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
  • 장점
    • 복잡도가 낮고 이해하기 쉬움
    • 쿼리 작성이 용이하고 조인 수가 적어 SQL 쿼리 성능이 좋다
  • 단점
    • 비정규화에 따른 데이터 중복 발생하여 더 많은 디스크 공간을 차지

눈송이 스키마

  • 차원 테이블(Dimension Table)이 하나 이상의 차원에 연결된 스타 스키마의 확장
  • 장점
    • 중복을 줄이기 위한 정규형으로 유지 → 저장공간의 절약
  • 단점
    - 더 많은 조인을 필요로 하여 검색의 효과 감소 → 시스템의 악영향
    https://jmkim.tistory.com/84

https://ko.wikipedia.org/wiki/눈송이_스키마#/media/파일:Snowflake-schema-example.png

Denormalized Schema (역 정규화된 스키마)

  • NoSQL이나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사용하는 방식
  • 단위 테이블로 나눠 저장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조인이 필요 없는 형태
  • 장점 - 별도의 조인이 필요 없기에 빠른 계산이 가능
  • 단점 : 데이터 스토리지 낭비 발생

느낀 점

  • 평소에 몰랐던 스키마의 종류에 대해 알게 됨
  • 처음 DB를 배웠을때 "힘들게 join을 해야되기 때문에 테이블을 귀찮게 왜 나누었는지 몰랐는데" 이번 기회에 왜 테이블을 나누었는지 알게 되었고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스키마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됨.
  • 관계형 DB도 사용에 따라 각 종류의 스키마가 있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키마는 "스타 스키마"

Ref

https://jmkim.tistory.com/84

https://ko.wikipedia.org/wiki/스타_스키마

http://publib.boulder.ibm.com/tividd/td/TEDW/GC32-0745-00/ko_KO/HTML/aegmst108.htm

profile
BackEnd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