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란
- 클라우드 컴퓨팅(영어: cloud computing)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활발한 관리 없이 특히, 데이터 스토리지(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컴퓨팅 파워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필요 시 바로 제공(on-demand availability)하는 것을 말한다.
- 프로비저닝 -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체를 제공 하는 것
- 장점
- 신속하고 유연한 인프라 관리
- 예상치 못한 트래픽 폭주 대응 → 클라우드 오토 스케일링 기술
- 합리적 요금제
- 단점
- 비싼 요금제
- 클라우드 의존도 → 클라우드 관련 인력이 필요함
- 데이터 보관의 불안함
- 서비스 모델에 따라 IaaS, PaaS, SaaS, 최근에는 서비스형 모바일 벡엔드(MBaaS)
프로비저닝 (Provisioning)
-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해 두었다가 필요 시 시스템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을 말한다.
- 서버 자원 프로비저닝, OS 프로비저닝,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계정 프로비저닝 등이 있다.
- 수동으로 처리하는 '수동 프로비저닝'과 자동화 툴을 이용해 처리하는 '자동 프로비저닝'이 있다.
- 종류
- 서버 자원 프로비저닝
- 서버의 CPU, 메모리 등의 자원을 할당 또는 적절하게 배치하여 운영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것
- OS 프로비저닝
- OS를 서버에 설치하고 구성 작업을 해서 OS가 동작 가능하도록 준비해두는 것
-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
- 소프트웨어(WAS, DBMS, 애플리케이션 등)을 시스템에 설치 배포하고 필요한 구성 셋팅 작업을 해서 실행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것
-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 낭비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스토리지를 식별하고 공통 풀에서 옮긴 후 스토리지에 대한 요구가 접수 되면 관리자는 공통 풀에서 스토리지를 꺼내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인프라 구축 가능하도록 하는걸 스토리지 프로비저닝이라고 합니다.
- 계정 프로비저닝
- HR담당자와 IT관리자는 승인절차 밟은 후 e-mail ,그룹웨어 ,ERP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계정을 생성하거나 접근권한을 변경해주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계정 프로바이저닝

IaaS, PaaS, SaaS


-
결론으로 Iaa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머신 Vmware (일부 운영체제)제공해주는 서비스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개발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플랫폼 및 환경을 제공하는 모델
-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에만 집중 가능하여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 배포 가능
-
node.js나 자바와 같은 런타임을 미리 깔아놓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
MySQL이 설치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등
-
장점
- 이미 설치된 미들웨어 위에 코드만 돌리기 때문에 관리 편리
-
단점
-
예시


[NAVER CLOUD PLATFORM](https://www.ncloud.com/product/database/mssql)
- 결론으로 Paa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발 플랫폼(JVM, MySQL, NodeJS)이 설치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문제
- 리눅스가 설치된 OS를 받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자바와 MySQL 등과 같은 서비스를 설치하여 개인 프로젝트를 실행하였다.
- 이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 IaaS/PaaS/SaaS 중 어떤 것일까?
- Kafka와 MySQL이 설치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설치하여 연동하였다.
- 이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 IaaS/PaaS/SaaS 중 어떤 것일까?
- 웹으로 된 MS Office 365를 설치를 하고 서비스를 이용하였다. 또한 데이터는 구글 클라우드나, 네이버 Mybox에 넣어 이용하려고 한다.
- 이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 IaaS/PaaS/SaaS 중 어떤 것일까?
NAS와 CLOUD 차이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파일 수준 스토리지 아키텍처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서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 결론으로 얘기하면 공통점은 둘 다 인터넷을 통해 저장된 공간이나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서비스 주체가 누구에 따른 차이
- 개인이 이용할 경우에는 NAS를 기업이나 회사가 이용할 경우에는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CLOUD"를 이용
- 현재 추세는 여러 서비스를 제공 받을수 있는 "CLOUD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추세"
느낀 점
- 클라우드 용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었던 용어인 "프로비저닝, IaaS/PaaS/SaaS등을 정리하여 익힘
- AWS에서 MySQL을 설치하면서 이 부분은 3부분 중 어디 부분일까라는 의문점을 해결
- IaaS를 공부하면서 나왔던 용어인 "오픈스택"의 경우도 용어정리가 필요
- 클라우드를 공부하면서 앞으로의 클라우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느낌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