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변수 in 컨테이너(ex문자열, 리스트 등) : 실행할 명령
※ 파이썬에선 들여쓰기를 꼭 해야함. 띄어쓰기를 쓰면 띄어쓰기로, tab을 쓰면 tab으로 해야함
>>> color
['pink', 'black', 'red', 'blue', 'green', 'purple']
>>>
>>> for color in color:
print(color)
pink
black
red
blue
green
purple
>>>
- 넣을 범위가 많을 경우 range를 활용
- range(3) 은 range(0, 3) 으로 0, 1, 2 를 포함
- range(32, 40)으로 지정하면 32~ 39까지 표현
- 증가폭 사용 가능. for 변수 in range(시작, 끝, 증가폭):
ex) for x in range(0, 5, 2):
print(i) -> 결과: 0, 2, 4- 증가폭 감소 사용하기
for x in range(10, 0, -2)
for x in reversed(range())
>>> for n in range(89, 100):
print(n)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for x 2 (for문을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음)
for m in range(2, 10):
for n in range(1, 10):
print('{}x{}={}'.format(m, n, m*n))
numbers = [1, 2, 3, 4, 5, 6, 7, 8, 9, 10]
odd_numbers = []
for number in numbers:
if number %2 == 1:
odd_numbers.append(number)
print(odd_numbers)
[1, 3, 5, 7, 9]
// 위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한 줄로 표현하는 것을 comprehension
[number for number in numbers if number %2 == 1]
[1, 3, 5, 7, 9]
for 는 횟수를 세어서 몇 번을 돌릴지 사용하지만
while은 조건(true/false)에 따라서 반복
while 조건에서 true가 되면 계속 반복되지만 false가 나오면 끝이 남
while 조건 :
실행할 명령1
실행할 명령2
...
x = 0 //초기식
while x < 3: //조건식
print('횟수:', x)
x += 1 //변화식
횟수: 0
횟수: 1
횟수: 2
>>>
count = 0
while count < 100:
count += 1
if count < 4:
continue
print('횟수:', count)
if count == 7:
break
횟수: 4
횟수: 5
횟수: 6
횟수: 7
>>>
i = 0
while i != 1:
i = random.randint(1, 6)
print(i)
2
6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