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함
- 조건이 참(true)일때면 명령(코드 블럭)으로 들어가고
거짓(false)이면 다음으로 넘어감- if 다음에 오는 코드들은 반드시 들여쓰기 깊이가 같아야 함
>>> input_name = '배고파'
>>>
>>> if input_name == '배고파' :
print('밥 줘!', input_name)
밥 줘! 배고파
>>>
>>> input_name = '배불러'
>>> if input_name == '배고파' :
print('밥 줘!', input_name)
아래 모두 동일한 조건문이며 논리 연산자를 활용하여 간단히 표현할 수 있음
(1)
if x > 0:
if x < 10:
print('10미만임')
(2)
if x > 0 and x < 10:
print('10 미만임')
(3)
if 0 < x < 10:
print('10미만임')
- if 조건이 true면 if 내 실행할 명령 1로 가지만,
false가 되면 else 내의 실행할 명령으로 이동- else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음
x = 1
if x == 2:
y = x
else:
y = 0
x = 1
y = x if x == 2 else 0
<동작방식>
if True: // true는 if 코드 실행 '참'
print('참')
else:
print('거짓')
if False: // False는 else 코드 실행 '거짓'
print('참')
else:
print('거짓')
if None: // None는 else 코드 실행 '거짓'
print('참')
else:
print('거짓')
숫자는 0이면 '거짓', 0이 아니면 '참'
문자는 빈 문자면 '거짓', 내용이 있으면 '참'
- if 조건이 true면 if 내 실행할 명령 1로 가고 수행이 끝나지만
if 조건이 false가 되면 elif 로 넘어가서 다시 검사함- true면 elif 내의 명령이 실행되지만, elif 내에서도 false면 수행이 끝
- if 조건이 true면 if 조건 내 명령 실행 후 넘어감
- if 조건이 false면 elif로 넘어가서 재검사
- elif 가 true면 elif 조건 내 명령 실행 후 넘어감
- elif 가 false면
- else로 넘어가서 명령이 실행된 후 넘어감
// 예시
x = 5
if x == 1:
print('1임')
elif x == 2:
print('2임')
else:
print('둘 다 아님')
>>> x = 10
>>> if x == 10:
pass // pass를 입력하면 아무 코드 없이 넘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