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운영체제 이해/수동 파티션 분할 및 설치하기 (교육 22일차)

SW·2022년 12월 21일
0





실습> VMware ESXi 6.7 설치하기

VMware ESXi란?
VMware ESXi는 VMware사가 개발한 Type1의 엔터프라이즈급 하이퍼바이저로 가상머신(VM)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현재 버전은 6.x, 7.x 가 나와있다.

참고: https://cafe.naver.com/linuxmasternet/1175

1. ESXi 6.7 설치

root 비밀번호: P@ssw0rd (취약하지만 연습할 때 사용)

ESXi 6.7 네트워크 설정
– IP 주소 : 200.200.200.6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 게이트웨이 : 200.200.200.2
– DNS#1 : 168.126.63.1

2. 웹 콘솔 접속
설치가 완료되면 웹으로 접속을 한다.
ESXi 6.7은 웹에서 모든 것을 제어한다.
http://200.200.200.6/

3. 가상머신 생성
VM(Vitual Machine) 생성하기
https://cafe.naver.com/linuxmasternet/1177

VM1 설치
– VM 이름: CentOS7#1
– IP 주소 : 200.200.200.7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 게이트웨이 : 200.200.200.2
– DNS#1 : 168.126.63.1
– DNS#2 : 168.126.63.2
설치가 완료되면 브라우저를 모두 닫는다.

4. 원격 로그인
접속 방법:
터미널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
– putty, xshell, moboxterm ...

윈도우에서 ssh(Secure SHell)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
– cmd(윈도우 + R, 검색) -> powershell을 실행한다.
ssh 원격 접속 형식: ssh 사용자@<IP주소 or 도메인명>

ssh로 서버에 접속하면 서버에서 보내주는 공개키를 받아야 한다.
PS C:\Users\user2> ssh root@200.200.200.7
The authenticity of host '200.200.200.7 (200.200.200.7)' can't be established.
ECDSA key fingerprint is SHA256:bAiA58Fc3LVyuL2tQRCfMXtuCGTJWmLQIPVLyYqaef8.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fingerprint])? yes <-- yes 입력
Warning: Permanently added '200.200.200.7' (ECDSA) to the list of known hosts.
root@200.200.200.7's password: <-- 비밀번호 입력 (암호는 보이지 않는다.)

서버에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되면 아래처럼 프롬프트가 떠진다.
[root@localhost ~]# ip a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ens192: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pfifo_fast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00:0c:29:52:e0:98 brd ff:ff:ff:ff:ff:ff
inet 200.200.200.7/24 brd 200.200.200.255 scope global noprefixroute ens192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fe80::6564:aaf7:e082:ae91/64 scope link noprefixroute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 GNU/Linux 의 역사 및 이해 📌
https://ko.wikipedia.org/wiki/리눅스
https://ko.wikipedia.org/wiki/리눅스커널
https://ko.wikipedia.org/wiki/GNU_프로젝트
https://ko.wikipedia.org/wiki/리처드_스톨먼
https://ko.wikipedia.org/wiki/리눅스배포판
https://ko.wikipedia.org/wiki/데비안
https://ko.wikipedia.org/wiki/우분투_(운영_체제)
https://ko.wikipedia.org/wiki/리눅스_민트
https://ko.wikipedia.org/wiki/레드햇
https://ko.wikipedia.org/wiki/centos
https://ko.wikipedia.org/wiki/안드로이드_(운영체제)
https://ko.wikipedia.org/wiki/페도라_리눅스
https://ko.wikipedia.org/wiki/수세_리눅스
https://ko.wikipedia.org/wiki/안녕_리눅스












실습> 개인이 만든 리눅스

안녕리눅스
https://oops.org/












실습>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사용하기

https://www.android-x86.org/

수많은 리눅스 배포판을 모아 놓은 사이트: http://livecdlist.com

https://centos.org
http://mirror.kakao.com/centos/
https://vault.centos.org
https://vault.centos.org/7.9.2009/os/Source/SPackages/

미션> 파티션 분할계획을 이용한 CentOS7 설치하기

장치명에 대한 이해

리눅스에서는 장치(하드디스크, LVM, 터미널, 프린터 ...) 등등을 /dev 디렉터리에 모아 놓고 각각 이름을 부여한 것을 장치명이라고 하고 그 이름들의 Full path 들을 사용한다.

하드 디스크 장치명 :
/dev/sda: 첫 번째 HDD
/dev/sdb: 두 번째 HDD
/dev/sdc: 세 번째 HDD
/dev/sdd: 네 번째 HDD

터미널 장치명 :
가상 콘솔 : /dev/tty1, /dev/tty2, /dev/tty3, /dev/tty4, /dev/tty5, /dev/tty6 … 가상 터미널 : /dev/pts/0, /dev/pts/1, /dev/pts/2, /dev/pts/3 …
리눅스는 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한다.
가상 콘솔 이동 단축키: Alt + F1 ~ F6, 명령어는 chvt 콘솔번호

CD-ROM :
/dev/hda, /dev/hdc …

하드디스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식을 지원한다.
메인보드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는 IDE / EIDE / SATA / SSD / SCSI / SAS 등의 방식이 있다.
주로 PC에서는 SATA / SSD 방식을 사용하며 서버에서는 SATA / SSD / SCSI / SAS 등이 사용된다

하드디스크 장치명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다.
/dev/[디스크종류]d[하드순서][파티션순서] ex) /dev/sda1, /dev/sdb2 ...

IDE 방식의 장치명 : /dev/hda, /dev/hdb, /dev/hdc, /dev/hdd ... SCSI,SATA,SAS,SSD 방식의 장치명 : /dev/sda, /dev/sdb, /dev/sdc, /dev/sdd ...

파티션 번호 :
/dev/sda1, /dev/sda2, /dev/sda3 ...
/dev/hda1, /dev/hda2 /dev/hda3 ...

연결방식에 따른 차이:
a부터 차례대로 붙음: /dev/sda, /dev/sdb, /dev/sdc

HDD 파티션

하나의 HDD 에서 분할하는 개수 주 파티션: 4 개 (1 ~ 4)
확장 파티션: 1 개 (1 ~ 4)

주 파티션: 주 파티션 4 개
주 파티션 + 확장 파티션: 주 파티션 3 개 + 확장 파티션 1 개 논리 파티션은 5 번부터 시작된다.

파티션을 7 개를 분할하고 싶다면 :
주 파티션 4 개 : X
확장 파티션 1 개 + 논리 파티션 7 개
주 파티션 1 개 + 확장 파티션 1 개 + 논리 파티션 : 6 개 주 파티션 3 개 + 확장 파티션 1 개 + 논리 파티션 : 4 개 주 파티션 2 개 + 확장 파티션 1 개 + 논리 파티션 : 5 개

하드 디스크 장치명
/dev/ 이름으로 시작한다.

일반 PC 에서는 IDE -> EIDE, SATA, SSD 방식을 사용하고 서버에서는 SATA, SSD 방식과 SCSI -> SAS 를 사용한다.

일반 PC : IDE -> EIDE, SATA, SSD 방식을 사용한다.
서버 : SATA, SSD 방식과 SCSI -> SAS 를 사용한다.

SATA, SSD 회전 속도 : 7200rpm
SCSI, SAS 회전 속도 : 10000, 15000 rpm

리눅스에서 하드 디스크를 연결하는 방법
1. 하드 디스크 구매
– 온/오프 라인 매장에서 HDD 를 구매

2. 하드 디스크를 장착하는 방법
– 시스템 종료
– 물리적인 하드 디스크를 장착

3.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을 분할하는 방법
– 시스템 부팅
fdisk, parted 를 이용해서 파티션을 분할

4.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하는 방법
– 파일시스템 종류
– ext -> ext2 -> ext3(CentOS 5) -> ext4(CentOS 6), xfs(CentOS 7)

5.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는 방법
– 특정 디렉터리를 생성
– mount 명령어로 연결한다. (임시적인 방법)
– /etc/fstab 에 저장 (영구적인 방법)


파티션의 종류
– Primary partition (주 파티션)
하나의 HDD 에 4 개까지만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파티션 (OS 설치 가능)
– Extended partition (확장 파티션)
하나의 HDD 에 1 개만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를 담을 수 없는 파티션이고 논리 파티션을 담을 수 있는 파티션 (OS 설치 불가능)
– Logical partition (논리 파티션)
하나의 HDD 에 여러 개의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다. 확장 파티션 안에 소속 되어 있는 파티션이다.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파티션 (OS 설치 불가능)

실습> 리눅스 서버에 HDD 추가하기
운영중인 리눅스 서버에 HDD 를 추가하는 일은 자주 일어나는 일은 아니지만 HDD 의 용량을 증설하기 위해서 일어나며 여기서는 운영중인 서버에 HDD 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 HDD 준비
HDD 를 구매한다.

2. 시스템 종료 후 HDD 연결
HDD 를 장착하기 위해 시스템을 종료한다.
#init 0
HDD 장착한 후 시스템을 부팅한다.

3. HDD 파티션 분할
fdisk 로 HDD 의 파티션을 분할한다.
!!! 중요 fdisk 는 2T 까지 지원한다. 만약 HDD 가 8T 를 사용한다면 fdisk 가 parted 를 사용해야 한다. !!!
#fdisk -l <- 부팅 후 fdisk -l 로 확인
#fdisk /dev/sdb







4. 파일시스템 생성(포맷)
분할된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 한다.
#mkfs.xfs /dev/sdb1
#mkfs.xfs /dev/sdb2


5. 마운트할 디렉터리 생성
파티션과 연결할 디렉터리 /data, /home2 를 생성한다.
#mkdir /home2
#mkdir /data


6. 파티션을 마운트할 디렉터리에 연결 (마운트)
파티션을 연결할 디렉터리에 마운트 한다. 형식: mount 장치명 디렉터리
#mount /dev/sdb1 /home2
#mount /dev/sdb2 /data

#df

7. /etc/fstab 수정
일반편집기 : 실행 -> 입력모드
VI 편집기는 아래와 같이 명령모드, 입력모드, ex모드(콜론모드)로 나뉜다.

fstab(File System TABle)
vi a.txt -> i -> 안녕하세요. -> ESC -> :wq -> ls -> cat a.txt o -> 입력 -> ESC -> :wq -> cat /etc/fstab
#vi /etc/fstab
:
: (생략)
/dev/sdb1 /home2 xfs defaults 0 0
/dev/sdb2 /data xfs defaults 0 0

<- 상기 파일시스템 생성/저장
#reboot




8. 마운트 확인
서버를 재부팅한 후 로그인해서 df, mount로 확인한다.

#df
#mount

CentOS 7의 파티션 분할
LVM (Logical Volume Manager) 은 여러 HDD를 묶어서 사용하는 기술로 CentOS 7을 자동 파티션 설정으로 설치 하면 기본값으로 LVM을 이용해서 설치된다.

swap : HDD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기술
리눅스를 수동으로 설치할 때 swap 파티션을 반드시 나눠야 하고 용량은 일반적으로 메모리의 2배의 크기로 설정한다.

실습> 파티션 분할 계획을 이용한 CentOS 7 설치하기











미션> 리눅스 파티션 분할해서 설치하기

1. 리눅스1
– HDD 2개가 필요하다.
첫 번째 실습 1 (/dev/sdb)
/dev/sdb1: 10G
/dev/sdb2: 나머지
HDD 1개를 장착한 후 /home2, /data에 마운트한다.
/dev/sdb1 -> /home2
/dev/sdb2 -> /data

첫 번째 실습 2 (/dev/sdc)
/dev/sdc1: 10G
/dev/sdc2: 나머지
HDD 1장착한 후 /home3, /data2에 마운트한다.
/dev/sdc1 -> /home3
/dev/sdc2 -> /data2

2. 리눅스2
두 번째 실습
파티션을 분할해서 CentOS 7을 설치한다.

profile
정보보안 전문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