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널한 개발자 TV] 네트워크 기초 이론: 1 - 네트워크 소개

이 글은 널널한 개발자 TV 님의 강의영상을 보고 작성한 글입니다.
네트워크 공부해야 겠다고 맘 먹고,
여러 강의들도 찾아보고, 책도 알아봤는데,
이 유튜버(널널한 개발자)님이 가장 퀄리티가 괜찮아서 보면서 정리를 하려고 한다
(올리는 것은 허락 받았습니다 ㅎㅎ)
1. 컴퓨터 구조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S/W 영역과 H/W 영역
1.1 S/W 영역과 H/W 영역
S/W 영역은 또 다시 두 부분으로 나뉜다.
user(application) 영역과 kernel(system) 영역이다.

1.2 OSI 7 Layers

DoD 기준으로 나누는 경우
Aplication, Transport, Internet, Access, 4개로 분류함.
Access 계층에서의 식별자는 MAC 주소이다.(H/W 주소)
Internet 계층(Network 계층)에서의 식별자는 IP 주소이다.
Transport 계층에서의 식별자는 Port 번호이다.
MAC, IP, Port 는 "식별자"라고 한다.
1.3 예시

"Application 영역(User 영역)"에서 "Process"가 있고,
이 Process 밑에, "운영체제 수준(kernel 영역)"에서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다.
이 프로토콜은 "TCP/IP"로 구현되어 있다.
H/W 에는 이제, "Network Interface Card(NIC)" 있다. (랜카드 같은거)
이런 H/W, 즉, NIC을 구현할 수 있는 "Driver"가 존재한다.
Kernel의 구성요소를 User 모드 Application으로 추상화 할 때는,
어떤 file의 형태로 추상화를 한다.
이 때, 이 file은 Socket이라고 한다.
중요!!!
TCP/IP Socket이라고 가정했을 때,
Socket은 TCP를 User 모드 Application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file 형식으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가 속해진 것이다.
Refere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