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널한 개발자 TV] 네트워크 기초 이론: 15 - L2 스위치에 대하여
이 글은 널널한 개발자 TV 님의 강의영상을 보고 작성한 글입니다.
L2 스위치
L2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MAC 주소(물리적 주소)로 스위칭한다.
MAC 주소는 48bit, 6bytes이다.
Network는 Switch의 집합체이다.

그림 보면,
PC #1번이 있다.
이 PC가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있다고 가정(즉, LAN 케이블이 꽂혔다)
저 위의 점이 있는데, 저 점은 Network Interface인데, 보통 NIC 형태로 되어있다.
저 LAN 케이블이 어디로 갈까?
어떤 스위치이 연결이 되어있는데, 이 스위치를 "L2 Access 스위치"라고 한다.
저 L2 Access 스위치에는 다른 PC도 연결이 되어 있을 수 있다(그림에서는 PC#2)
PC #1과 PC #2는 서로 L2 Access 스위치를 통해서 정보를 주고 받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두개만 통신을 할 수 있지만, 다른 PC와도 통신하고 싶다.
그래서 또 다른 PC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를 위한 스위치가 있는데, 이는 "L2 Distribution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PC #2에서 PC #3번까지 저 위의 그림처럼 정보가 왔다갔다 하는 것은,
L2 Distribution 스위치 덕분에 되는 것이다.
L2 Access 스위치와 L2 Distribution 스위치의 차이는
무엇을 위한 스위치인가를 생각하면 된다.
L2 Access
Network 자체를 이루는 스위치와, Network 이용 주체를 구분했을 때,
이용 주체들은 "End point", 위 그림에서는 PC들 이다.
그래서 이 "End point"들과 맞닿아 있는 스위치를 "L2 Access 스위치"라고 한다.(이게 무선일 수도 있다.)
즉, L2 Access 스위치는 End point 들을 연결하기 위해 있는 스위치이다.
L2 Distribution
L2 Distribution은 무엇을 위한 스위치일까?
PC 같은 "End point" 들도 연결 될수 있지만,
L2 Distribution 스위치는, 스위치를 위한 스위치이다.(Network 그 자체)

그래서 이렇게 L2 Distribution에서 나가면
이제 Gateway 역할을 수행하는 "Router"로 가고,
이 Router가 "Internet"에 연결되는 것이다.
L2 Access -> L2 Distribution
L2 Access에서 L2 Distribution 으로 트레픽이 연결될 때
즉, 더 넓은 쪽으로 갈 때, "Up Link 된다"라고 표현한다.
상위 계층 스위치로 가는 것
"Up Link"와 "Link Up"은 다른 뜻이다.
Link Up: LAN 케이블이 연결 되면, 녹색불이 들어 오는데, "연결 되었다"라고 한다.
Link Down: 연결 끊김

L2 Access ,L2 Distribution, Router 들을 위으 그림처럼 사용한다.
공유기 보면
여러개의 LAN을 꽂을 수 있다.
공유기는 L2 Access 스위치이다.
그리고 건물에 LAN 꽂는 곳이 있을 것이다.
그게 바로 L2 Distribution과 연결시키는 곳이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