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널한 개발자 TV] 네트워크 기초 이론: 3 - Host, Switch, Network 관계
이 글은 널널한 개발자 TV 님의 강의영상을 보고 작성한 글입니다.
1. Host

Host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이다.
Computer+Network
Host 중에서,
Net 자체를 이루는 host와
Net를 이용하는, Net 이용 주체로서의 host가 있다.
Net 자체를 이루는 것은 Switch라고 봐야한다.
Net 이용 주체는 다른 말로, "Endpoint"(단말)라고 부른다.
네트워크에서 어떤 host가 존재하는 역할에 따라 나눈다.
ex) Peer, Server, Client
2. Switch

Net 자체를 이루는 host
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이다.
Net 자체를 이루는 것은 뭐가 있을까?
"Router"
이 외에 Fire Wall(F/W, 방화벽), IPS 등이 있다.
이런 Net 자체를 이루는 장비들은 어떠한 목적을 갖고 Switching을 한다.
Router는 경로를 찾기 위해,
F/W나 IPS는 보안을 위해서 Switching을 한다.
즉, Switch는 역할에 따라 나뉜다.
2.1 Router
Router 역할은 경로 찾기(길 찾으려고), 즉, 경로 선정 목적으로 Switching을 한다.
Router는 L3 Switch 중에 하나이다(IP 경로 바꾸기).
2.2 F/W, IPS
F/W, IPS -> 보안 목적의 Switch
F/W나 IPS는 보안 장비들이다.
이런 것들도 Switch에 포함된다.
보안 적인 이유로 Switching을 하는데, 이런 것들은 "보안 Switch"이라고 한다.
2.3 Switch 예시

MAC 주소를 Switching 한다고 가정 하면
이 경우를 L2 Switch 라고 한다.
IP 주소를 Switching 한다고 가정하면
이 경우를 L3 Switch 라고 한다.
L3 Swtich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Router"이다.
Port 번호로 Switching 한다고 가정하면
이 경우를 L4 Switch 라고 한다.
HTTP 에서 Switching 한다고 가정하면
이 경우를 L7 Swith 라고 한다.
Switch 가격
Switch의 가격은 위로 갈수록 (L1 -> L7) 비싸진다.
이유는 Layer가 높을 수록 연산이 복잡해 지기 때문에 비싸다.
Layer가 낮으면 전기적 신호로 Switch가 가능하고
Layer가 높으면 여러 복잡한 연산을 거쳐 Switch가 이뤄진다.
3. Network

Network에서 가장 유명한 Network, Internet이다.
Internet은 약간 Router 와 DNS의 집합체이다.
Internet = Router + DNS
4. TCP/IP, Ethernet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