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강의 내용을 정리하며 JavaScript의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const arr = [1,2,3,4];
arr.forEach(function (elm) {
console.log(elm);
});
// arr.forEach((elm) => console.log(elm)); 동일하다
👉🏻 callback 함수를 배열의 각각 요소에 적용해서 출력한다.
const arr = [1,2,3,4];
const newArr = [];
arr.forEach(function (elm) {
newArr.push(elm * 2);
});
console.log(newArr);
👉🏻 모든 요소에 * 2를 하여 새로운 배열 만들기
const arr = [1,4,9,16];
const newArr = arr.map((elm) => {
return elm * 2;
});
console.log(newArr);
// 출력 : (4) [2, 8, 18, 32]
👉🏻 원본 배열의 모든 값을 순회하며 * 2를 하여 새로운 배열 만들기
👉🏻 return을 사용해서 값 반환
const arr = [1,2,3,4];
let number = 3;
arr.forEach((elm) => {
if (elm === number) {
console.log(true);
}
});
// console.log(arr.includes(number));와 동일
👉🏻 인자로 받은 값이 존재하는지 boolean으로 return한다.
const arr = [1,2,3,4];
let number = 3;
console.log(arr.indexOf(number));
// 출력 : 2
👉🏻 전달 받은 값과 동일한 값이 있는지 확인하고 위치를 반환한다.
👉🏻 없으면 -1을 반환한다.
const arr = [
{color : "red"},
{color : "black"},
{color : "blue"},
{color : "green"}
];
let number = 3;
console.log(
arr.findIndex((elm) => {
return elm.color === "red";
})
);
👉🏻 findIndex()는 일치하는 조건이 두개면 배열을 순서대로 순회하기 때문에 앞에 있는 순서를 반환한다.
👉🏻 index가 아니라 배열의 요소를 가지고 오고 싶으면 find()를 사용하면 된다.
const arr = [
{color : "red"},
{color : "black"},
{color : "blue"},
{color : "green"}
];
let number = 3;
const element = arr.find(elm) => {
return ele.color === "blue";
});
console.log(element);
👉🏻 callback 함수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하며 요소를 반환하는지 순서를 반환하는 지 차이이다.
const arr = [
{color : "red"},
{color : "black"},
{color : "blue"},
{color : "green"}
];
console.log(arr.filter((elm) => elm.color === "blue"));
👉🏻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를 배열로 반활할때 사용한다.
👉🏻 배열의 method.slice()는 초기값부터 마지막 값 -1까지를 잘라서 출력한다.
arr.concat(arr2)
👉🏻 arr1을 arr2에 붙인다.
let numbers = [0,1,3,2,10,50,20];
const compare = (a,b) => {
if (a>b) {
return 1;
// 1이면 뒤로 보내기
}
if (a<b) {
return -1;
// -1이면 앞으로 보내기
}
return 0;
};
numbers.sort(compare);
console.log(numbers);
👉🏻 배열들의 배열, 함수들의 배열 등도 마음대로순서를 정리할 수 있다.
const arr = ["최유리", "여", "안녕하세요", "또오셨군요"];
console.log(arr[0],arr[1],arr[2],arr[3]);
// console.log(arr.join(" "));로 사용
// 출력 : 최유리 여 안녕하세요 또오셨군요
👉🏻 배열의 모든 요소를 문자열로 합치는 method이다.
👉🏻 join을 사용하면 하나씩 안쳐도 공백으로 구분해서 하나로 합치기 가능하다.
👉🏻 괄호 안은 구분자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