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특정 문자로 쪼개서 문자열 리스트 형식으로 되돌려준다
사용법
sampleList = input('1 2 3 4 5라고 입력: ').split(' ')
print(sampleList)
결과
1 2 3 4 5라고 입력: 1 2 3 4 5
['1', '2', '3', '4', '5']
정의
map함수란 여러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각 함수를 적용하여 반환된 결과값(iterable한 데이터값만을 반환)을 반환하는 내장함수
map(function, iterable)
function -> 적용시킬 함수. int같은 내장함수일수도, 내가 정의한 함수일수도.
iterable -> '반복가능한' 즉, 여러개의 순차적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객체가 들어감
iterable의 각 요소에 대해 function함수 처리를 해서 새로운 iterator로 반환
map의 결과값은 새로운 iterator의 각 요소값
a,b,c = map(int,input().split())
- input()으로 '5 8 4' 라는 문자열을 입력받고
- split() 함수로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눈 후
- 각각의 요소들을 int형으로 바꾸는 function을 적용시켜서 map의 결과값으로 저장하여 각각 a b c 변수에 저장
예제
map함수 이용하여 리스트에 여러 연산값을 적용하는 예제
list1 = [1,2,3,4,5]
def multiply(x):
return x*3
list2 = list(map(multiply, list1))
print(list2)
결과값 -> [3, 6, 9, 12, 15]
map함수 이용하여 multiply함수 적용한 결과를 반환 후
list함수 사용하여 배열로 바꾸어 새로운 list를 생성함
map함수 자체는 iterable한 데이터값만을 반환하기 때문에 list함수 사용하여 list자료형으로 바꿔줘야 함
list1 = [1,2,3,4,5]
list2 = [10,20,30,40,50]
def listSum(x,y):
return x+y
list3 = list(map(listSum, list1, list2))
print(list3)
결과값 -> [11, 22, 33, 44, 55]
list1과 list2 각각의 원소를 추출하여 map함수의 function 인자에 넣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