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목표]
숫자문장을 정수형 또는 실수형으로 변환하여 계산을 할 수 있다.
첫번째 문장은 정수 값 10을 변수 a에 할당합니다. 이 할당 이후에는 a가 값 10을 가리킵니다.
변수 a는 이제 메모리에 있는 정수 객체를 참조합니다.
이 문장은 문자열 값 '3'을 변수 a에 할당합니다. 이 할당 이후에는 a가 문자열 '3'을 가리킵니다. 변수 a는 이제 메모리에 있는 문자열 객체를 참조합니다. 따라서 이 두 할당문의 주요 차이점은 변수 a에 할당되는 값의 유형입니다. 첫 번째 경우에는 정수(10)이며, 두 번째 경우에는 문자열('3')입니다.
python은 동적으로 타입을 지정하는 언어로, 프로그램 실행 중에 변수가 서로 다른 유형의 값들을 가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a = 10 # 정수객채로 할당함
b = 20
print("{}{}".format(a,a+b))
a = '3' # 문자열로 할당함.
b = '6'
c=int(a) # 문자열을 정수형로 변형
d=int(b)
print("{}".format(c+d))
print("{}".format(int(a)+int(b))) # 위와 같은 표현방법
a = '3.1' # 문자열로 할당함.
b = '6.1'
c = float(a) # 문자열을 실수형로 변형
d = float(b)
print("{}+{}={}".format(a,b,c+d))
print("{}+{}={}".format(a,b,float(a)+float(b))) # 위와 같은 표현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