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1.12.31) - [JS] 조건문과 배열

박세진·2021년 12월 31일
0

조건문

  • 조건문은 Boolean 데이터를 이용한다.
  • 조건문에 조건에 올 수 있는 데이터 값이 true이면 중괄호 구문이 실행이 되고, false라면 중괄호 구문이 실행되지 않는다.
  • false인 경우에는 else에 있는 중괄호 구문이 실행이 된다. else에는 조건이 따로 필요 없다.
if (조건) {
  실행되는 부분
}; else {
  실행되는 부분
}

if (name === 'Sejin') {
  console.log('저는 세진입니다.');
} else {
  console.log('저는 세진이 아닙니다.');
};
  • 또 다른 조건을 만들고 싶은 경우에는 else if를 사용한다.
function isOkayToDrive (who) {
  if (who === 'son') {
    return 'Nope!';
  } else if (who === 'dad') {
    return 'Good';
  } else if (who === 'grand father') {
    return 'Be careful!';
  } else {
    return 'Who are you?';
  }
};

isOkayToDrive('son');
isOkayToDrive('dad');
isOkayToDrive('grand father')
isOkayToDrive('mom')

비교연산자

  • = : 대입연산자

  • == : 동등연산자

  • === : 일치연산자. 동등연산자와 차이점은 데이터형이 같은 경우에만 같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일치연산자를 쓰는 것을 권장함

  • != : !는 부정의 의미로 같지 않다는 의미

  • !== : 정확하게 같지 않다는 의미. 이걸 더 권장.

  • <, >, <=, >=

논리연산자

  • && : and 연산자. 좌항과 우항이 모두 true일 때 true가 된다. 둘 중에 하나만 false여도 false가 된다.
console.log(1+1 ===2 && 1+1 === 3);
// 좌항은 true, 우항은 false이기 때문에
// 결론은 false
  • || : or 연산자. 좌항과 우항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가 된다. 둘 다 false인 경우 false가 된다.
console.log(1+1 === 2 || 1+1 === 3);
// 좌항은 true, 우항은 false
// 둘 중에 하나만 true여도 되기 때문에 true임
  • ! : not 연산자. Boolean의 데이터 값을 반대로 바꾼다.

  • Truthy Falsy : 참 같은 값, 거짓 같은 값으로 Falsy가 아니면 전부 Truthy다.

    • Falsy : false, 0, 0, 0n, "", null, undefined와 NaN 등
let a = 0;
let b = 100;

if (a) {
  console.log('I am falsy')
} else if (b) {
  console.log('I am truthy')
}; // 'I am truthy'

배열(Array)

  • 배열은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서 통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배열을 만드는 기호는 [], 대괄호 안에 데이터를 , 구분해서 나열한다.

let myArray = [10, 20, 30, 40, 50];
  • 데이터 하나하나를 요소 또는 element라고 부른다.

  • 배열에는 순서(index)가 있다. 순서는 zero-based numbering으로 0부터 시작한다.

  • 배열의 index 값은 배열의 길이보다 하나 적다.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console.log(myArray[2]); // 'good'

let first = myArray[0];
console.log(first); // 19

// 배열의 길이 구하는 방법
console.log(myArray.length); // 4

- 중첩배열

let myArray1 = [19, 44, 'good', [100, 200, 300], false];
let myArray2 = [900, 800, 700, 600];
let myArray3 = [7, 77, 777, 7777, 77777, 777777];

console.log(myArray[0]); 
console.log(myArray[3][0]); // 100

console.log(myArray[3][1]); // 200
console.log(myArray[3][2]); // 500

배열의 요소

  • 배열의 요소 수정하기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myArray[2] = 'bad';

console.log(myArray);
// [19, 44, 'bad', false]
  • 배열의 요소 추가하기
    • push : 배열의 끝에 추가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myArray.push('kiwi');
console.log(myArray);
// [19, 44, 'good', false, 'kiwi'];
  • 배열의 요소 삭제하기
    • pop : 배열의 끝 요소를 삭제
    • shift : 배열의 첫 요소를 삭제
    • splice : 해당 index부터 삭제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myArray.pop(); 
console.log(myArray);
// [19, 44, 'good']

myArray.shift();
console.log(myArray);
// [44, 'good']

let myArray2 = [19, 44, 'good', false, 'kiwi'];
myArray.splice(1, 3);
console.log(myArray); // [19, 'kiwi']
// index 1에서부터 3개가 삭제

2021년의 마지막 날이다. 2022년의 시작도 자바스크립트와 함께 해야지~ 2022년에는 자바스크립트와 더욱 친해졌으면...ㅎㅎㅎ

profile
경험한 것을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