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num = 10;
console.log(++num); // 11
let num1 = 10;
console.log(--num); // 9
let num2 = 10;
let num4 = 10;
console.log(num4++); // 10 / 선행연산과는 다르게 값이 나중에 담기기 떄문에 여기서 console을 출력하면 10이 나온다.
console.log(num4); // 11
let num5 = 10;
console.log(num5--); // 10
console.log(num5); // 9
condition ? True : False
// if else 조건문 사용
const str = 'operator';
if (typeof str === 'string') {
console.log('문자열');
} else {
console.log('문자열이 아닙니다.')
}
// '문자열'이 출력됨
// 삼항 연산자 사용
const str1 = 1;
typeof str1 === 'string' ? console.log('문자열') : console.log('문자열이 아닙니다');
// '문자열이 아닙니다' 출력됨
if (조건문) {
true일 경우 출력될 부분
} else {
false일 경우 출력될 부분
}
let userId = 'sejinee';
if (userId === 'sejinee') {
console.log(`${userId}님 만나서 반갑습니다.`)
}
// 이런식으로 한줄로 간단한 경우에는 블록을 감싸지 않아도 된다.
let userId = 'sejinee';
if (userId === 'sejinee')
console.log(`${userId}님 만나서 반갑습니다.`)
다른 것보다 산술단항연산자가 제일 헷갈린다. 앞에 붙으면 선행, 뒤에 붙으면 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