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머시브 코스 TIL 2주차 모음
sprint - BeesBeesBees, Subclass Dance Party 진행..
const stack = []
stack.push(1);stack.push(2);stack.push(3);stack.push(4);
console.log(stack) // [1, 2, 3, 4]
stack.pop();stack.pop();
console.log(stack) // [1, 2]
const queue = []
queue.push(1);queue.push(2);queue.push(3);queue.push(4);
console.log(queue) // [1, 2, 3, 4]
queue.shift();queue.shift();
console.log(queue) // [3, 4]
무방향그래프(undirected graph)
진입차수(in-degree)
/ 진출차수(out-degree)
: 한 정점에 진입(들어오는 간선)하고 진출(나가는 간선)하는 간선이 몇개인지를 나타냄인접(adjacency)
: 두 정점간에 간선이 직접 이어져 있다면 이 두 정점은 인접한 정점자기 루프(self loop)
: 정점에서 진출하는 간선이 곧바로 자기 자신에게 진입하는 경우 '자기 루프를 가졌다'라고 표현, 다른 정점을 거치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사이클(cycle)
: 한 정점에서 출발하여 다시 해당 정점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사이클이 있다'고 표현정 이진 트리(full binary tree)
: 각 노드가 0개 혹은 2개의 자식 노드를 갖음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
: 마지막 레벨을 제외한 모든 노드가 가득 차 있어야 하고, 마지막 레벨의 노드는 전부 차 있지 않아도되지만 왼쪽이 채워져야 함포화 이진 트리(perfect binary tree)
: 정 이진 트리이면서 완전 이진 트리인 경우. 모든 리프 노드의 레벨이 동일하고, 모든 레벨이 가득 채워져 있는 트리전위(preorder) 순회
: 루트 노드부터 방문하여 왼쪽 서브트리를 둘러본 뒤, 오른쪽 탐색을 함중위(inorder) 순회
: 루트를 가운데에 두고 순회, 제일 왼쪽 끝에 있는 노드부터 루트, 오른쪽에 있는 노드로 이동후위(postorder) 순회
: 왼쪽 서브트리부터 오른쪽 서브트리를 모두 방문한 다음에 루트를 방문BFS(Breadth First Search)
: 너비 우선 탐색으로, 가까운 정점부터 탐색DFS(Depth First Search)
: 깊이 우선 탐색으로, 하나의 경로를 끝까지 탐색한 후, 다음 경로를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