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2

홍서현·2022년 3월 26일
0

Python

목록 보기
2/2


Backjoon Online Judge Pyyhon 배우기 (1~50)

리스트 관련 함수

  1. 요소 추가
    append(x) : 리스트 마지막에 x 추가
  2. 정렬
    sort() : 리스트 순서대로 정렬 (오름차순/알파벳순)
  3. 뒤집기
    reverse() : 리스트 역순
  4. 위치 반환
    index(x) : 리스트 내 x값 위치
  5. 요소 삽입
    insert(a,b) : a 위치에 b 삽입
  6. 요소 제거
    del a[x] : 리스트 a의 x자리 값 삭제
    remove(x) : 첫 번째로 나오는 x값 삭제
  7. 요소 끄집어내기
    pop(x) : x값 돌려주고 리스트에서는 삭제
  8. 개수 세기
    count(x) : 리스트 안의 x 개수
  9. 확장
    extend(x) : 리스트끼리 더하기

Backjoon #10817
세 정수 A, B, C가 주어진다. 이때, 두 번째로 큰 정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세 정수 A, B, C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a,b,c = map(int, input().split())
s=[a,b,c]
s.sort()
print(s[1])
  • sort를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 후 리스트의 두 번째 값 출력

while

조건이 참인동안 반복한다. break를 이용해 반복문을 빠져나갈 수 있다.

Backjoon #11653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소인수분해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n=int(input())
s=2
while n!=1: #n이 1이 아닐동안 반복
	if n%s==0:
    	print(s)
    	n=n/s
    else:
    	s+=1
  • 2로 나누어지지 않으면 2의 배수로 나눌 수 없음을 이용하여 소인수분해

최소공배수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한 뒤 최소공배수를 구하면 된다. 주어진 두 수를 곱한 뒤 최대공약수로 나누어주면 최소공배수가 나온다.

temp : 임시로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해 정의한 변수로 주로 변수 변환 때 쓰인다.

Backjoon #1934
두 자연수 A와 B에 대해서, A의 배수이면서 B의 배수인 자연수를 A와 B의 공배수라고 한다. 이런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최소공배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6과 15의 공배수는 30, 60, 90등이 있으며, 최소 공배수는 30이다.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T개의 줄에 걸쳐서 A와 B가 주어진다.

t=int(input())
for i in range(1,t+1):
    a,b=map(int, input().split())
    if (b>a):
        a,b=b,a
    num1=a
    num2=b
    while num2!=0:
        temp=num2
        num2=num1%num2
        num1=temp        
    print(int((a*b)/num1))
  • 공백으로 구분된 두 수 중 항상 큰 수가 앞에 오도록
  • 두 수중 작은 수를 num1에 저장하고 큰수를 작은수로 나눈 나머지를 num2에 저장
  • num2 = 0 이 되면 num1이 최대공약수
  • 최소공배수는 두 수를 곱하고 최대공약수로 나누기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