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마 시안을 보고 랜딩 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화면을 만들어야 한다.PC, 태블릿, 휴대폰 화면 너비에 맞춰 반응형 웹을 구성해야 한다.깃허브에 push하고, PR 작성과제 제출을 깃허브에 push해야 하는데, git commit을 안하고 git add . - g
피그마 시안을 보고 로그인 폼 에러 처리, 로그인 버튼 클릭 시 페이지 이동 등을 구현해야 한다.이번 과제에서 쿼리셀렉터로 요소 노드를 가져오는 데 잘 안됐다.쿼리셀렉터로 ID나 Class를 가져올 때 선택자를 꼭 붙여야 한다.폼이 비어있을 때 에러 메시지 띄우는 메서
4주차 과제에서 구현하지 못한 로그인 엔터키 keypress 이벤트를 구현했다.폼 태그 안에 button을 넣어서 input창에서 엔터키를 눌러도 동작하게 했다.폼 태그 name 속성과 action 속성을 사용해 이벤트를 줬다.웹 페이지 구현 시 로그인 폼은 필수로 사
회원가입 폼 에러 메시지 구현공통 로직과 폴더 구조 모듈화배포 링크: https://linkbraryproject.netlify.app1\. 모듈화를 처음 해봐서 어려웠다.처음엔 관심사별로 파일을 분리했다.그런데 모듈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pages, js,
API에 POST를 요청해서 정보를 받아온다.async와 await를 사용해서 API에 POST 요청을 받아오는 게 어려웠다.함수가 하나의 기능만 하게 분리하는 게 어려웠다.KEEP잘한 게 무엇일까 잘 모르겠다.PROBLEM에러 처리를 console.error와 thr
리액트 컴포넌트를 활용하고, 데이터를 Codeit Bootcamp API에서 가져온다.API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axios를 사용하는 게 어려웠다. 심지어 axios를 제대로 썼는데도 데이터 표시가 안됐다.\-> API 데이터를 가져오는 URL을 잘못 표기했다.
데이터를 Codeit Bootcamp API에서 가져와서 폴더 목록 별로 분류한다.문제: 데이터를 API에서 가져오는 것은 할 수 있는데, 각 폴더 목록 별로 해당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에서 막혔다.원인: 데이터 불러오는 hook과 받아온 데이터를 useEffect에 넣
장바구니 기능 구현 PR클라이언트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단일 스토어에서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상태 변경 흐름을 명확히 한다.3가지 원칙 \-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상태는 하나의 저장소 안에 하나의 객체 트리 구조로 저장한다.상태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