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이용하기로 한 개발환경은
AWS RDS
AWS S3
AWS EC2
DOCKER
GIT
NOTION
등이며 개발환경 세팅을 내가 담당하게 되어 하나하나 세팅을 진행해주었다.
우선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aws rds를 만들어주었다.
I. 공용 데이터베이스 사용
변경사항을 즉시, 자동으로 업데이트 해주고
팀원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했다.
II. 자동 관리
이미지 출처
EC2에 직접 데이터베이스 환경 세팅을 해주는 것도 가능하지만
위의 이미지와 같이 관리가 자동화된 rds를 사용하여 개발의 편의성을 추구하였다.
RDS 생성 참고 사이트
위의 링크를 참고하여 무료 RDS를 생성해주었다.
하지만 잘못된 설정이 있을시 과금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아래는 내가 설정한 내용들이다
표준생성을 선택하여 세부 사항을 직접 선택하게 하였고
엔진은 기존에 사용하던 MariaDB로 선택을 해주었다.
템플릿은 당연하게도 프리 티어로 선택을 해주었고
DB의 식별자, 사용자 정보들을 입력해주었다.
암호, 사용자 이름은 꼭 기억해두도록 하자.
인스턴스 클래스는 t2.micro를 선택해주었다.
기본값은 t3로 되어있는데 t3의 경우 과금이 된다는 말이 있어
t2.micro로 설정을 변경해주었고 스토리지의 경우 기본값으로 스토리지 자동 조정 활성화가 되어있는데 오토스케일링이라는 기능이며 db의 크기가 설정값보다 커졌을때 자동으로 크기를 키워주는 기능이다.
현재는 필요없기에 또 과금방지를 위해 비활성화를 시켰다.
이후에는 개발 편의를 위해 퍼블릭 엑세스 설정을 활성화하여 주었고
그대로 RDS를 생성해주었다.
그리고나서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하여 다른 IP에서도 db에 연결을 할 수 있게 설정을 해주었다.
이어서 spring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DB연동 확인과 git 레포지토리 생성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인텔리제이 얼티메이트(유료) 버전은 인텔리제이 시작후 새 프로젝트로 바로
프로젝트 생성이 가능하다.
spring.io 유료 버전이 없을시 여기 링크에서 프로젝트 파일 생성이 가능하다.
그후 프로젝트의 설정을 진행하였다.
java는 11버전으로 선택을 해주고 종속성 추가를 진행하였는데
상단의 Spring boot의 버전을 확인후 종속성을 선택해주었다.
현재는 기본적인 종속성들만 선택을 해주었다.
생성후 properties 파일을 yml파일로 변경해주고 db연동 정보들을 입력해주었다.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mariadb.jdbc.Driver
url: jdbc:mariadb://엔드포인트 주소:포트번호/db이름
username:
password: 설정한 비밀번호
위와 같이 연동정보를 설정해주었다.
빌드 성공 DB가 나의 로컬 개발환경에 연동이 되었다.
git에 프로젝트 공유를 하여 자동으로 레포지토리 생성 또한 진행해주었다.
확인 완료.
1차 개발환경 세팅은 여기서 마치고 내일 회의후 나머지 세팅을 진행을 해주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