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QL ( Data Query Language, 데이터 조회어 ) 쿼리(Query)의 사전적 의미는 묻다, 질문하다 라는 뜻입니다.
- 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게 데이트를 달라고 요청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SELECT가 대표적인 쿼리문 입니다.
-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은 데이터베이스 객체(테이블, 인덱스, 뷰, 스키마 등)의 구조를 정의하고 관리하는 명령어의 집합입니다.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의 주요 키워드로는 CREATE, ALTER, DROP, TRUNCATE 등이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고 수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CREATE :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함
ALTER : 기존의 테이블을 변경함 (컬럼을 추가하거나 변경)
TRUNCATE : 테이블을 잘라냄(테이블 내의 저장된 내용 삭제)
DROP : 기존의 테이블을 삭제함 (테이블의 구조 자체를 제거)
RENAME : 테이블의 이름을 변경함
-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SQL 명령어 집합입니다.
- INSERT, UPDATE, DELETE 등의 명령어가 이에 해당합니다.
INSERT :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함
UPDATE : 기존의 데이터를 변경함
DELETE : 기존의 데이터를 삭제함
- DCL (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어 )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접근과 사용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보안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취소하는 데 사용됩니다.
- GRANT, REVOKE 등의 키워드가 이에 해당합니다.
GRANT : 사용자에게 특정 권한을 부여
REVOKE : 부여했던 권한 제거
- TCL (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트랜잭션 제어어 )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의 시작, 종료,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COMMIT, ROLLBACK, SAVEPOINT 등의 키워드가 이에 해당합니다.
COMMIT : 변경된 내용을 영구 저장
ROLLBACK : 변경되기 이전 상태로 되돌림
SAVAPOINT : 특정 위치까지를 영구 저장 혹은 이전 상태로 돌리기 위해 저장점을 만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