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프로젝트로 운영중인 지름알림 서비스)
이전 게시글에서는 홈서버에 대해서 소개하고, 홈서버를 운영했을때 어떤 장점이 있는지 소개했었는데요 🙂
이번 게시글에서는 제가 운영하고 있는 홈서버(Synology NAS와 Proxmox 데스크톱)를 이용해서 구성하고 있는 것들을 소개해드려고 합니다.
이전 게시글을 아직 보지 않으셨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해당 게시글에서 등장하는 나스와 쿠버네티스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으니 같이 읽어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
홈서버를 소개합니다 🐥
홈서버를 운영하면 어떤게 좋을까요?
argocd.example.com
)으로 들어오는 요청들을 내부 네트워크의 호스트로 전달하는 역할
을 하고 있어요HTTPS
를 지원할 수 있도록 Let's Encrypt
에서 와일드카드 인증서
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있어요보안을 위해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있어요
집 밖에 있더라도
VPN을 사용해서 마치 제 노트북이 자취방의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것 처럼 내부망의 호스트
에 접근해요증분 백업
하고 있어요매일 변경된 데이터
만 추가로 저장해요컨테이너 이미지의 저장소 역할
을 하고있어요캐시 저장소의 역할
을 하고 있어요지름알림 서비스 헬스체크
별도로 운영
하고 있어요YAML파일
에 정의해 사용하고 있어, 서버를 별로도 띄우는 부분에 대한 부담이 전혀 없어요!상품을 수집하는 배치
로 사용하고 있어요정해진 주기
에 따라 상품을 수집하는 기능이 동작해요로그를 기록
하고 있어요검색에 활용
할 예정이에요속도 향상
을 여러 부분에서 위해서 캐시를 사용하고 있어요비동기
로 실행되요별도
로 떠있기 때문에 트래픽이 늘더라도 영향을 적게 받도록
구성했어요서버 리소스 할당
, 서버 배포
, 환경 변수 할당
, 서버 개수 변경
, 도메인 라우팅
, 배치 및 스케쥴링 등록
등 쿠버네티스에서 지원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홈서버로 구성한 NAS와 가상 머신으로 구성한 서버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을 소개해드렸는데요!
해당 게시글을 포스팅하면서 언제 이렇게 많은걸 구성했지..
라는 생각이 드는데
서버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뭐가 있을까?
지속적으로 고민하면서 이런 저런 것들을 구성하고,
내가 구성한 것들로 어떤걸 할 수 있을까?
라는 물음의 결과로 지금의 구성이 된 것 같아요
현재는 구성해둔 것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 하면서 지름알림
이라는 사이드 프로젝트의 구성요소로써 각각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하고 있어서 지난날의 고민과 삽질이 결과물이 된 것 같아 뿌듯한 마음이 듭니다 😀
이 글을 읽는 독자분들도 한번에 이렇게 많은 것들을 구성하기는 힘들겠지만, 당장 필요한 것
부터 하나 둘씩 구성하다보면 언젠간 필요한 것들을 전부 홈서버에서 구성할 수 있게 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요
다른 분들도 제 게시글을 보고 따라하고 싶은 마음이 들고, 직접 구성까지 시도
해볼 수 있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
안녕하세요.
홈서버 소개하는 첫번째 글부터 재밌게 보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
궁금한게 있는데, 혹시 K8S 인그레스 컨트롤러 대신에 시놀로지 NAS 를 리버스 프록시 서버로 사용한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모든 앱이 K8S 위에서 동작하는게 아니라서 그런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