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10. 오토마타 이론(Automata Theory)

Seoeun Park·2024년 5월 1일
0

CS

목록 보기
8/10

🖥️ 오토마타 이론(Automata Theory)이란?

오토마타 이론(Automata Theory)은 계산 능력이 있는 추상 기계와 그 기계를 이용해서 풀 수 있는 문제들을 연구하는 컴퓨터 과학의 분야이다. 여기서 추상 기계를 오토마타(automata, 복수형) 또는 오토마톤(automaton, 단수형), 즉 자동 기계라고 부른다. 이 이름은 '자동'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αὐτόματα'에서 유래하였다.
오토마타는 "자동화"라는 단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자동 장치 라는 단어 자체는 특정 프로세스의 생산을 수행하는 자동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 오토마타의 종류

대표적으로 유한 상태 기계(Finite State Machine)가 있다. 이는 내부 상태 외의 저장 공간을 갖지 않는 오토마타이며, 저장 공간이 따로 없어서 가장 간단한 형태의 오토마타라 할 수 있다.
또한, 오토마타는 입력 문자열을 순서대로 하나씩 읽으면서 읽은 글자와 내부 상태에 따라 내부 상태를 바꾸면서 작동한다.

유한 상태 기계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시로 정규 표현식과 논리회로가 있다. 순차적 논리회로는 유한 개의 저장 공간을 가지므로 이를 내부 상태로 생각해 유한 상태 기계로 표현할 수 있다.


출처 :

profile
게임 개발 공부 시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