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7 Layer 모델

- 데이터의 흐름이 한 눈에 보인다
- Trouble shooting 이 쉽다
- 이론적이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쉽게 이해한다
1계층: Physical
- 통신 단위: 비트
- Physical 계층 장비: Lan 리피터, 허브
양쪽으로 랜선을 꽂을 수 있는 리피터(증폭기) -> 네트워크를 연장과 증폭하여 연결되지 않을 때 중간에
허브: 중심, 바퀴축 등의 끝을 가진 단어이며 이더넷 허브는 컴퓨터들을 LAN 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장치로 스위칭 허브라고도 한다
2계층: Data Link -> 논리적 계통 구간
- 목적: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 계층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신뢰성을 제공
- 통신에 오류도 찾아 주고 재전송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통신 단위: 프레임
- 주소: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통신하게 해 준다
- 장비: Switch, Bridge
3계층: Network
- 목적: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best path 선택
- 주소: IP
- 통신 단위: Packet 패킷
Logical address (IP, IPX)를 담당하고 packet의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
IPX
- 장비: Router
-> 라우터와 라우터를 거치는 것을 '홉'이라고 한다
-> AIP
4계층: Tansport ☆☆
- 정보를 분할 ->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TCP/IP
- 상대편에 도달하기 전 다시 합치는 과정
- 통신 단위: Segment
- 통신 장비: Gateway
- Layer4 프로토콜: TCP, UDP -> 상위 프로토콜
+) TP: 신뢰성, 연결지향성 - HTTP, SSH -> 속도가 느림, 등기 우편 -> 받을 때까지 추적 가능
+) UDP: 비신뢰성, 비연결지향성 -> 받든지 말든지 일단 빨리 보내기! ex) 넷플릭스
5계층: Session
- 끊어 주고 이어 주는
- 통신이 중간에 끊겼을 때 재연결 시도
6계층: Pressentation
- 전송하는 데이터의 Fomat 을 결정
- 다양한 데이터의 Format 을 일관되게 상호 변환하고 압축 기능 및 암호화, 복호화 기능을 수행
- ASCII, EBCDIC, GIF, JPEG, AVI, MPEG
7계층: Application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
- 즉,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생각 (ex, 인터넷 익스플로러, 런처)
-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프로토콜 정의
-> HTTP(80), FTP(20,21), Telnet(23), SMTP(25), DNS(53), DNS(53), TFTP(69)
-> 숫자: port 서비스마다 포트를 정해서 할 일을 쉽게 함
+) 0 - 1023 well-known port
+) 1024 - 65535 마음대로 지정 가능 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