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에서 김영한님의 스프링 완전 정복 로드맵 강의(스프링 입문,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HTTP 웹 기본 지식, 스프링 MVC 1편, 스프링 MVC 2편)를 듣고,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강의를 들은 다음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활용해 간단한 게시판 프로젝트를 하기로 했다.
스프링 부트 스타터에서 프로젝트 생성 및 설정
https://start.spring.io/
dependencies
Intellij에서 Open -> build.gradle 선택 -> Open as Project 선택
build.gradle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2.RELEASE'
id 'java'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mysql:mysql-connector-java'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롬복 적용 (Windows)
1. File -> Settings -> plugins -> lombok 검색 실행 (재시작)
2. File -> Settings -> Annotation Processors → Enable annotation processing 체크 (재시작)
3. 임의의 테스트 클래스를 만들고 @Getter, @Setter 확인
IntelliJ Gradle 대신에 자바 직접 실행 (Windows)
최근 IntelliJ 버전은 Gradle로 실행을 하는 것이 기본 설정이다. 이렇게 하면 실행속도가 느리다.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자바로 바로 실행해서 실행속도가 더 빠르다.
File -> Settings → Gradle ->
Build and run using과 Run tests using을 Intellij IDEA로 바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