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TIL주제는 처음 들어보는 API인 fetch api에 대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fetch api란
fetch api 사용하기
fetch의 기본 응답 결과인 Response객체를 받아서 json
이나 text
형태로 바꾸는 처리를 해줘야한다.
blob
은 이미지를 처리하는데 사용
const $image = document.createElement('img')
const imageUrl = '이미지 주소'
fetch(imageUrl)
.then(res => {
return res.blob()
})
.then(data => {
const url = URL.createObjectURL(data)
console.log(url)
$image.src = url
document.querySelector('body').appendChild($image)
})
그리고 한가지 중요한 사실!
fetch는 404등 HTTP error가 발생하더라도 reject되지 않는다는 점
실제로 네트워크 에러나 요청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에만 reject가 된다.
그래서 서버 요청 중 에러가 생겼을 경우에도 then
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response의 status code
나 ok
를 체크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res.ok
는 status가 200 ~ 299 사이인 경우에만 true를 반환한다!
🖤 실습을 따라 하고 이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 과연 나중에 혼자서 이런 코드를 다 짤 수 있을까❓ 🙄
🖤 또한 에러가 발생하면 찾아서 수정하고 다음 강의를 따라가야 하는데 만약 찾지 못하게 된다면... 크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