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습용 폴더 (working directory) 생성 : D:\255\MyGit\master
- 로컬저장소 생성
- git init
- 원격저장소와 연결할 user.name, user.email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
설정하고싶은 내이름"- 파일 생성
- echo
파일 내용>파일이름.txt- untracked 상태에서 벗어나기
git add master.txt- commit 하기
git commit -m "master.txt 생성"- 원격저장소 등록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serijang/test.git- 원격저장소의 master 브랜치에 push
git push origin master- git clone할 때 --branch 후 원하는 브랜치네임 써주면 선택한 브랜치안에 있는 걸 가져와줌
git clone --branch main https://github.com/serijang/test.git- git branch 하위 브랜치 만들기
git checkout -b 새로만들브랜치네임 상위브랜치네임
1) tracked : 원격 저장소에 보낼 준비가 된 파일
2) untracked : 원격저장소에 보낼 준비가 안 된 파일
untracked → tracked (unmodified / modified / staged 3가지 상태가 있음)

git은 로컬저장소도 있고, 원격저장소도 있음. !!
로컬에서 git 저장하는건 로컬 저장소의 git에 해당 브랜치에 파일을 commit하는거고, git remote origin git주소로 해당 깃주소를 가진 원격저장소에 로컬로 저장돼있던 commit파일을 올리는 것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serijang/test.g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