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Abstraction(추상화)

Serun1017·2024년 10월 28일
0

인공지능

목록 보기
25/40

상태 공간의 추상화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래 상태 공간을 단순화하거나 일반화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이는 실제 상태 공간의 모든 세부사항을 다루기 어려운 경우나 문제 해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Simplification (단순화)

  • 상태 공간 추상화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상태 공간을 더 단순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고려해야 할 상태의 수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 예를 들어, 어떤 경우에는 세부적인 위치 정보 대신 "도시 A에서 도시 B로 이동" 이라는 더 일반적인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Generalization (일반화)

  • 일반화는 특정 상태를 대표하는 더 일반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상태 공간을 단순화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복잡한 세부사항을 무시하고 더 큰 그림을 볼 수 있도록 한다.
  • 예를 들어, "자동차 A에서 자동차 B로 이동"이라는 액션은 여러 다양한 경로 및 상황을 단순하게 표현한다.

Inclusiveness (포괄성)

  • 추상화는 기본 상태 공간의 모든 중요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이것은 중요한 세부사항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추상화를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Solubility (문제 해결 가능성)

  • 추상화된 상태 공간은 여전히 문제를 해결 가능한 형태여야 한다. 즉, 목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Efficiency (효율성)

  • 추상화는 문제 해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복잡성을 줄이고 계산 비용을 최소화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Accuracy (정확성)

  • 추상화는 문제를 단순화하는 동시에 원래 문제의 중요한 특성을 보존해야 한다. 너무 많은 정보를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