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router-dom이 route, provider를 사용해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을 구현하였다면 redux-history는 props로 전달받는 객체이다.history는 push(), goBack(), goForward() 등 다양한 메서드와 객체들이 존재함으
데이터를 조회하는 함수데이터를 등록하는 함수
\-> 특정함수를 새로 만들지 않고 재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값이 변경될 때마다 function이 다시 실행된다(리렌더링)dispatch 함수가 LOGOUT_REQUEST값이 변경될 때마다 실행된다
saga는 비동기 로직을 구현할 때 사용되는데 계속 상기시켜도 많이 까먹는 라이브러리인듯하다... 다 그게 그거같이 느껴지는 함수들이 가득 있다. 다 비동기 로직인건 아는데,,ㅎ,,,, 아무튼 열심히 공부해야겠다ㅠgenerate함수를 기반으로 하는 함수이다. gener
: 문서 헤드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을 관리할 수 있는 컴포넌트이다.react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html태그들을 끌어다 사용할 수 있어 편하다고 함.또는이렇게 사용한다.title 태그 외로 meta, link, base 태그 등을 지원해준다고 한다.
map함수를 사용할 때 고유한 key값을 꼭 같이 사용해야한다.여기서 key값은 \_id이고, 이것은 mongoose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부여된 아이디이다. 배열의 순서가 바뀌면 안되므로 categoryName을 key값으로 사용하면 안된다.
CKEditor를 사용한 글쓰기 페이지를 만들었다.기본 세팅을 마친 후 게시글에서 이미지를 불러올 때 로직이 헷갈려서 따로 정리해보았다.CKEditor를 불러오는 부분에서 Data를 얻는 함수!에디터에서 받는 데이터를 가져옴.(그러니까 쓰는 부분)큰 if문 => 그 데
skip : 출력할 데이터의 시작부분을 설정하는 메소드! 파라미터로 생략할 데이터의 갯수를 받음limit: 출력하는 데이터의 갯수를 제한하는 메소드sort: 데이터를 정렬할 때 사용 파라미터는 {KEY : VALUE} 를 받음 여기서 value의 값은 1또는 -1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