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000원을 지원해야 하며, 1,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1. d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이며, 길이(전체 부서의 개수)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2. d의 각 원소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을 나타내며, 부서별 신청 금액은 1 이상 1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3. budget은 예산을 나타내며, 1 이상 10,0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d | budget | result |
---|---|---|
[1,3,2,5,4] | 9 | 3 |
[2,2,3,3] | 10 | 4 |
1. d의 인덱스를 앞에서부터 하나하나 더한다.
2. 한번 더할때마다 budget과 비교한다.
3. 그러다가 d의 인덱스의 합이 budget보다 커지는 순간에
4. 해당 인덱스의 순서를 리턴한다. (인덱스순서면 그대로, 배열의순서면 -1)
function solution(d, budget) {
let a = 0;
let b = 0;
d.sort((a,b) => a - b);
for(let i = 0; i < d.length; i++){
a = a + d[i];
b += 1;
if(a > budget){
b --
}
}
return b;
}
a는 배열 d의 인덱스들이 하나씩 더해질 수 있는 변수이고,
b는 d의 인덱스들이 더해질때마다 1씩 카운트를 해주는 변수이다, 이것이 최종적으로 반환할 변수이다.
여기서 오름차순 정렬이 가장 중요하다, 왜냐하면 한정된 예산안에서 지원을 해주다가
앞 부서의 높은 금액때문에 뒷 부서가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뒷 부서는 낮은 금액을 책정하여 남은 예산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경우도 생기기 때문에
신청 예산을 낮은 금액부터 정렬하는것이 중요하다.
그 다음 정렬된 배열을 순회하며 a 변수에 인덱스들을 하나씩 더해줄것이다.
계속 더하다보면 어느순간 더해진 a가 budget 보다 커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 커지는 경우에는
이미 예산을 더하고 난 후 크다는걸 인지할 수 밖에 없기에 더하면 안되는 예산을 한번 더하게 된다.
그렇기때문에 조건을 걸어주고 예산을 오버하는 그 첫번째 경우일때 카운트를 할 b에서 하나를 빼주면
그 전까지의 카운트가 남기때문에 정확한 계산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