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Python> 반복문

노설·2022년 7월 11일
0

백준 Python

목록 보기
3/21

2739번 구구단

문제 N을 입력받은 뒤,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형식에 맞춰서 출력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출력형식과 같게 N1부터 N9까지 출력한다.

N = int(input())
for i in range(1,10):
    print(N,'*',i,'=',N*i)

풀이 변수 i 번 범위 1~9까지 반복한다.

10950번 A+B - 3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t = int(input())
for _ in range(t):
    A,B=map(int,input().split())
    print(A+B)

풀이 for 변수 in iterable 자료형 형식으로, interable 자료형의 요소들을 for문안에서 사용하고자하면 변수를 선언해서 사용가능함. 여기 문제해서는 사용이 필요하지 않아 이럴때 _를 넣어준다.

8393번 합

문제 n이 주어졌을 때, 1부터 n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출력 1부터 n까지 합을 출력한다.

n=int(input())
sum = 0
for i in range(n+1):
    sum += i
print(sum)

15552번 빠른 A+B

문제 본격적으로 for문 문제를 풀기 전에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입출력 방식이 느리면 여러 줄을 입력받거나 출력할 때 시간초과가 날 수 있다는 점이다.

Python을 사용하고 있다면, input 대신 sys.stdin.readline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때는 맨 끝의 개행문자까지 같이 입력받기 때문에 문자열을 저장하고 싶을 경우 .rstrip()을 추가로 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입력과 출력 스트림은 별개이므로, 테스트케이스를 전부 입력받아서 저장한 뒤 전부 출력할 필요는 없다. 테스트케이스를 하나 받은 뒤 하나 출력해도 된다.

자세한 설명 및 다른 언어의 경우는 이 글에 설명되어 있다.

이 블로그 글에서 BOJ의 기타 여러 가지 팁을 볼 수 있다.
입력 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는 최대 1,000,000이다. 다음 T줄에는 각각 두 정수 A와 B가 주어진다. A와 B는 1 이상, 1,000 이하이다.
출력 각 테스트케이스마다 A+B를 한 줄에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한다.

import sys
A = int(input())
for i in range(A):
    a,b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print(a+b)

2741번 N 찍기

문제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1부터 N까지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 까지 차례대로 출력한다.

N = int(input())
for i in range(1,N+1):
    print(i)

2742번 기찍 N

문제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부터 1까지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 까지 차례대로 출력한다.

N = int(input())
for i in range (N,0,-1):
    print (i)

11021번 A+B - 7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Case #x: "를 출력한 다음, A+B를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번호는 1부터 시작한다.

T=int(input())

for i in range(1,T+1):
    A,B=map(int,input().split())
    print(f'Case #{i}: {A+B}')

f print문안에 콤마(,)없이 숫자와 문자열을 같이 사용하고 싶을때 f를 붙이고 {}을 사용한다.

11022번 A+B - 8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Case #x: A + B = C" 형식으로 출력한다. x는 테스트 케이스 번호이고 1부터 시작하며, C는 A+B이다.

T = int(input())
for i in range (1,T+1):
    A,B = map(int,input().split())
    C = A+B
    print(f"Case #{i}: {A} + {B} = {C}")

2438번 별 찍기 - 1

문제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번째 줄에는 별 N개를 찍는 문제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 내 풀이
N = int(input())
for i in range(1,N+1):
    for j in range(1,i+1):
        print("*",end="")
    print()
  • 다른이의 풀이
inp = int(input())
for i in range(1,(inp+1)):
    print("*" * i)

2439번 별 찍기 - 2

문제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번째 줄에는 별 N개를 찍는 문제

하지만, 오른쪽을 기준으로 정렬한 별(예제 참고)을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N=int(input())
for i in range(1,N+1):
    print(" "*(N-i)+"*"*i)

* 파이썬의 장점! print()문에서 문자의 곱셈이 가능하다! 문자의 곱셈과 다른 문자를 합쳐서 출력할 때(,와 같이) +를 사용해주면 된다.

10871번 X보다 작은 수

문제 정수 N개로 이루어진 수열 A와 정수 X가 주어진다. 이때, A에서 X보다 작은 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X가 주어진다. (1 ≤ N, X ≤ 10,000)

둘째 줄에 수열 A를 이루는 정수 N개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모두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X보다 작은 수를 입력받은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X보다 작은 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N, X=map(int,input().split())
A = list(map(int,input().split()))
    
for i in range(0,N):
    if A[i]<X:
        print(A[i])

10952번 A+B - 5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입력의 마지막에는 0 두 개가 들어온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while(1):
    A,B=map(int,input().split())
    if A == 0 and B ==0:
        break
    else:
        print(A+B)

10951번 A+B - 4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 내 풀이
while(1):
    try:
        A,B=map(int,input().split())
        print(A+B)
    except:
        break
  • 다른이의 풀이
try:
    while True: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except:
    print("error")

try-except 파이썬에서는 try-except 있지말자

1110번 더하기 사이클

문제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

N = int(input())
cnt = 0
NN = N
while(1):
    A = int(NN /10)
    B = NN % 10
    C = (A + B) % 10
    NN = B*10 + C
    cnt += 1
        
    if N == NN:
        break
            
print(cnt)
profile
IT업계에서 노설 이라는 이름이 보이면 그건 무조건 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