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 ¬p | p∨¬p | p∧¬p |
---|---|---|---|
T | F | T | F |
F | T | T | F |
정의 2:
두 복합명제 p, q에 대하여, p↔q가 항진명제이면, p와 q는 논리적으로 동치임
(표기법: p ≡ q or p⇔q)
"p↔q가 항진명제" 라는 말은 단위명제의 진리 값이 어떠한 값을 가져도 p와 q의 진리값이 같다는 말이다. 왜냐하면 ↔ 연산자 자체가 피연산자 두개가 서로 같을 때 참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p도 복합명제이고, q도 복합명제이고, p↔q도 복합명제이다. 헷갈리지 말자!
Truth Table을 이용한 동치 판정 방법
예제 1: Prove that ¬(p∨q) ⇔ ¬p∧¬q [De Morgan’s Law]
p | q | p∨q | ¬(p∨q) | ¬p | ¬q | ¬p ∧ ¬q |
---|---|---|---|---|---|---|
T | T | T | F | F | F | F |
T | F | T | F | F | T | F |
F | T | T | F | T | F | F |
F | F | F | T | T | T | T |
→ 2개의 단위 명제로 구성된 경우, 4(=)개의 행이 필요
예제 2: Prove that p∨(q∧r) ⇔ (p∨q) ∧ (p∨r) [Distributive Law]
p | q | r | q∧r | p∨(q∧r) | p∨q | p∨r | (p∨q) ∧ (p∨r) |
---|---|---|---|---|---|---|---|
T | T | T | T | T | T | T | T |
T | T | F | F | T | T | T | T |
T | F | T | F | T | T | T | T |
T | F | F | F | T | T | T | T |
F | T | T | T | T | T | T | T |
F | T | F | F | F | T | F | F |
F | F | T | F | F | F | T | F |
F | F | F | F | F | F | F | F |
→ 3개의 단위 명제로 구성된 경우, 8(= )개의 행이 필요
복합명제가 n개의 단위명제로 구성되는 경우, 동치를 증명하기 위해 개의 행이 필요
→ 🚫Too much space!, Too expensive! 💡 대안: 동치 법칙(Equivalence Laws)을 활용
기본 법칙
Equivalence(동치 종류) | Name(법칙 이름) |
---|---|
p ∧ T ⇔ p p ∨ F ⇔ p | Identity laws (항등 법칙) |
p ∨ T ⇔ T p ∧ F ⇔ F | Domination laws (지배 법칙) |
p ∨ p ⇔ p p ∧ p ⇔ p | Idempotent laws (등멱 법칙) |
¬(¬p) ⇔ p | Double negation law (이중 부정 법칙) |
p ∨ q ⇔ q ∨ p p ∧ q ⇔ q ∧ p | Commutative laws (교환 법칙) |
(p ∨ q) ∨ r ⇔ p ∨ (q ∨ r) (p ∧ q) ∧ r ⇔ p ∧ (q ∧ r) | Associative laws (결합 법칙) |
p ∨ (q ∧ r) ⇔ (p ∨ q) ∧ (p ∨ r) p ∧ (q ∨ r) ⇔ (p ∧ q) ∨ (p ∧ r) | Distributive laws (분배 법칙) |
¬(p ∧ q) ⇔ ¬p ∨ ¬q ¬(p ∨ q) ⇔ ¬p ∧ ¬q | De Morgan’s laws (드 모르간 법칙) |
p ∨ (p ∧ q) ⇔ p p ∧ (p ∨ q) ⇔ p | Absorption laws (흡수 법칙) ※ 쉬운 이해 : 집합의 Venn Diagram 이용 |
p ∨ ¬p ⇔ T p ∧ ¬p ⇔ F | Negation laws (부정 법칙) |
조건문을 포함한 논리적 동치
상호조건을 포함한 논리적 동치
¬(p ∨ (¬p ∧ q)) ⇔ ¬p ∧ ¬q 임을 증명하라.
¬(p ∨ (¬p ∧ q)) ⇔ ¬p ∧ ¬(¬p ∧ q)) by first 드 모르간 법칙
⇔ ¬p ∧ (¬(¬p) ∨ ¬q) by second 드 모르간 법칙
⇔ ¬p ∧ (p ∨ ¬q) by 이중부정 법칙
⇔ (¬p ∧ p) ∨ (¬p ∧ ¬q) by second 분배 법칙
⇔ F ∨ (¬p ∧ ¬q) by 부정 법칙
⇔ (¬p ∧ ¬q) ∨ F by 교환 법칙
⇔ ¬p ∧ ¬q by 항등 법칙
여기서 A,B,C는 0 or 1이지만 모르므로 그냥 기호로 적어둔다..
(A+B)·(A+C) ⇔ A·A + A·C + A·B + B·C
⇔ A + A·C + B·A + B·C ( A·A=A by 멱등법칙)
⇔ A·(1 + C + B) + B·C
⇔ A + B·C (1+C+B = 1)
부울대수의 표현 : AND연산 0 · 0 = 0, 0 · 1 = 0, 1 · 0 = 0, 1 · 1 = 1 이며, OR연산 0 + 0 = 0, 0 + 1 = 1, 1 + 0 = 1, 1 + 1 = 1 으로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