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SS (media query) 강의내용
✅ website 특성
🔘 적응형 web
> 뚝뚝 끊겨 공간의 크기가 바뀜. pc/모바일 별 고정된 픽셀 값을 가짐
🔘 반응형 web
> 주로 % 값을 넣기 때문에 형태별로 자연스럽게 resize됨
☑ layout 특성 별 화면 조작 확인
✅ media query
🔷 제작한 웹 사이트를 각 기기의 환경에 맞게 변화를 주는 code
⭕ pc / mobile code를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
media 쿼리 바깥쪽의 코드를 안쪽에서도 영향을 받기때문에 따로 만들거나 수시확인해줘야함.
( 편하게 css 파일을 분할해서 만드는 방법도 있음 )
⭕ media query 를 사용할 때 꼭 써야하는 meta tag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1. viewpoint => 웹 사이트를 사용하는 기기의 화면을 의미
2. width 값은 디바이스의 width값으로 적용하겠다, 비율은 1.0으로 유지하겠다.
viewport 적용 전/후 비교가능
기기별로 적용 width 값 확인가능⭕ T I P !!
.pc { display: none; color: red; font-size: 50px; background-color: pink; } .mobile{ display: none; } @media (min-width: 320px) and (max-width: 760px) { .pc { display: none; } .mobile{ display: block; } }
media query 와 display를 결합하면 원하는 기기에 원하는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media only screen and (min-device-width: 320px) and (max-device-width: 480px) and (-webkit-min-device-pixel-ratio: 2) and (orientation: portrait) { } =====> portrait - 스마트폰을 세로로 들었을 때의 화면
@media only screen and (min-device-width: 320px) and (max-device-width: 480px) and (-webkit-min-device-pixel-ratio: 2) and (orientation: landscape) { } =====> landscape - 스마트폰을 가로로 들었을 때의 화면
1. 기기별 layout 화면변화를 볼 수 있다.
2. media query 화면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