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해당 링크를 누르게 되면 Node.js를 설치할 수 있는 웹페이지가 나오는데,
좌측의 LST 에 대해 설명하면
LST(Long Term Supported)는 장기적으로 안정되고 신뢰도가 높은 지원이 보장되는 버전으로, 유지/보수와 보안(서버 운영 등)에 초점을 맞춰 대부분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버전이다.
우측의 최신버전은, 최신버전에만 포함된 최신의 기술이 존재할 수 있지만, 비교적 불안정적일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연습을 할때에는 최신버전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은 안정성을 위해 LST 버전을 설치한다.
nvm 의 깃헙 주소로 이동해
해당 설치 스크립트 코드를 터미널에서 실행해준다.
그후에 확인을 하려고
$ nvm --version
를 입력하면,
위와같이 nvm 을 찾을수 없다 라는 화면을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nvm 을 load 하기위해
$ [[ -s $HOME/.nvm/nvm.sh ]] && . $HOME/.nvm/nvm.sh
를 입력해준다.
이제
$ nvm --version
을 입력해주면
0.38.0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혹은,
$ vi ~/.zshrc
를 통해 vi 편집기에서 제일 아랫줄에 해당 소스라인을 추가하고 저장 후 터미널을 재실행 하면 된다.
export NVM_DIR="$([ -z "${XDG_CONFIG_HOME-}" ] && printf %s "${HOME}/.nvm" || printf %s "${XDG_CONFIG_HOME}/nvm")"
[ -s "$NVM_DIR/nvm.sh" ] && \. "$NVM_DIR/nvm.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