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저 뒤에 괄호에 오는 값은 보통 자리수를 의미한다.
아래 있는 VARCHAR의 경우는 문자열이기 때문에 (ex. star면 varchar(4))처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int의 경우도 자릿수가 필요한가?라고 생각했다
먼저 11인 이유는 int 타입은 4바이트(32비트) 크기이기 때문에 -2,147,483,648부터 2,147,483,647까지 범위가 한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숫자 최대 10자리 + 부호 1자리" 여서 11로 보통 사용하는 것 같다.
그동안 프로젝트를 진행할 땐 주로 bigint를 써왔었고 따로 자리수에 제한을 둔 적이 없는 것 같아 처음 봐서 의문이 생겼다.
https://jominseoo.tistory.com/48#3.%20MySQL%20%EC%84%9C%EB%B2%84%20%EC%A0%91%EC%86%8D-1
위 사진은 LEFT OUTER JOIN이다.
OUTER JOIN은 조인하는 테이블의 ON 절의 조건 중 한쪽의 데이터를 모두 가져온다
왼쪽 기준으로 JOIN이 이루어지며 없는 값은 null로 설정이 된다.
from 절에 ,를 쓰면 inner join
만일 원하는 정보가 테이블 3개로 흩어져있을때, 이 세개의 테이블을 모아야 할때 outer join을 연속으로 3번 사용하면 된다.
성능을 위해 JOIN하기 전에 중복을 제거하자
UNION은 여러 개의 SELECT 문의 결과를 하나의 테이블이나 결과 집합으로 표현할 때 사용
이때 각각의 SELECT 문으로 선택된 필드의 개수와 타입은 모두 같아야 하며, 필드의 순서 또한 같아야 한다.
기본 집합 쿼리에는 (DISTINCT) 중복제거가 자동 포함되어있다.
중복되는 레코드까지 모두 출력하고 싶다면, ALL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PATCH는 리소스의 부분적인 수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그럼 PUT과는 다른점이 무엇일까?
PUT 요청을 보내게 되면 내가 보낸 형식 그대로 덮어씌우게 된다.
PATCH는 수정하고자하는 속성만 변하게 된다.
PUT -> 집 전체를 새로운 도안으로 고치기
PATCH -> 새로운 도안 중 변경된 부분만 고치기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Reference/Methods/PA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