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pyter notebook
shift + enter : 실행하고 다음 코드 추가
control + enter : 실행하고 머물기
X, dd > 셀 제거
→ 재사용 가능한 logic : 패키지 → A,B,C를 묶으면 → Lib → API
- python실행환경 - I(나) + lib(1st, 2nd, 3rd party)
- 1st : 나, 2nd : python실행환경에서 설치된 lib, 3rd party : 그외 모든 제 3자가 만든 lib, 3rd party lib은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음.
- 라이브러리 설치 방법
1) PyPI : python의 3rd party library의 중앙저장소→ pip install <패키지명> / pip insatll —upgrade <패키지명> : 패키지 업그레이드
- 패키지 검색 사이트 : https://pypi.org/
2) Conda package repository : 아나콘다에서 관리하는 패지키 저장소 : conda install 패키지명
- 패키지 검색 사이트 : https://anaconda.org/anaconda/repo
- jupyterlab
- 주소창의 tree를 lab으로 수정하면 jupyterlab으로 실행됨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2가지 방식
Compiled 방식 , Interpreted 방식
interpreted방식 : Interpreter(인터프리터)라는 실행환경(Runtime Environment)이 실행시 명령문단위로 기계어로 변환하여 실행함.
파이썬 실행환경에서 인터프리터로 기계어로 바꿔서 Windows, Linux, MacOS 등의 운영체제로 전달함.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