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변수와 데이터 타입 02.문자열 연산자/형 변환(08.11)

0

python

목록 보기
6/6
post-thumbnail

3. 문자열

  • Uni-code : 국제적으로 여러나라의 언어를 지원하는 코드 (16bit)
    -> 파이썬은 유니코드를 사용해 전세계 언어를 표현, UTF-8,UTF-16,EUC-KR 를 자주 사용

  • 문자열 표현식
    -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 사용
    escape 문자

    \b ->지우기(굳이 사용 ㄴ)

escape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
r-string : 문자열 앞에 r을 붙이기
ex. r"C:\Users\rladl\Desktop\data_analysis_33"

# ESCAPE 문자열
print("a\tb")
print(1,2,3,4,5,6,7,sep="\t")
print("가\n나\n다")
print("123\b")
print("a\"b", 'a"b') #같은 따옴표를 사용할 때만 escape 문자 사용
print('가\'나'," 가'나 ")
print("c:\test\example\a.txt")
print(r"c:\test\example\a.txt")

문자열 연산자

  • 문자열 + 문자열
    - 문자열 끼리만 + 연산, 다른 타입과 합치려면 str() 형 변환 후 연산

    age = 20
    #문자열 + 정수(x) : 같은 타입간의 + 연산만 가능
    print('나이:' + age) 
    #str(값) : 값의 type을 문자열(str)으로 변환
    print("나이:" + str(age)) 
    	
  • 문자열 * 정수 : 문자열을 정수번 반복, 주로 아래처럼 구분자에 적용

    print("이름:" + name)
    print("-"*50)
    print("나이:" +str(age))
    
  • len(문자열)

    • 글자수를 반환한다.(공백포함)

      print(len("")) #0글자 문자열(문자열이긴 하지만, '없다'의 의미 - False)
      -> 0

  • 문자열 간 비교 연산
    같은 종류의 문자끼리 - 사전식 배열(앞의 것이 뒤에 것보다 작다.)
    "A" > "B"
    "A" > "Z"
    다른 종류의 문자끼리 - 특수문자 < 숫자 < 대문자 < 소문자 < 한글
    "가" < "A"
profile
데이터 분석 & 서비스 기획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