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정리하자고 시작한 노트 복습이지만....
시험 끝나고 2일동안 계속 타닥타닥거리고 있으니까 정신 나갈 것 같다 ㄹㅇ
얼른 끝내고 놀아...공부해야지...
이제 데이터 모델과 성능을 볼 차례인데, 여기서 정규화랑 반정규화가 나온다.
반정규화는 SQLD 시험에서 빠졌지만, 실무에선 상당히 중요한 것 같다.
실무에서 정규화를 완벽하게 수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하더라.
와 오늘 아침부터 퇴근 전까지 앉아 있던 적이 없다 ㄹㅇ
퇴근하고 바로 기절했다가 이제야 글을 쓴다...
와 중요한 것들 밖에 없네요 개같은거
성능 데이터 모델링 진행 순서
(순서를 외우진 않았지만, 실무에서 참고되지 않을까 싶어서 메모)
삽입/삭제/갱신 이상현상 방지
3NF 이상의 정규화는 잘 없다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셨다.
1차 정규형은 도메인이 원자값을 만족하고,
2차 정규형은 부분적 함수 종속성이 없고,
3차 정규형은 이행적 함수 종속성이 없다는 것이 정규화의 기본이다.
정규화를 수행하면
1. 데이터 중복 감소 -> 성능 향상
2. 데이터가 관심사별로 묶임 -> 성능 향상
3. 조회 질의에서 조인이 많이 발생 -> 성능 저?하 향?상
4. 정규화를 통해 일반적으로 성능이 향상되나, 조회의 경우 처리 조건에 따라 성능이 향상되거나 저하됨
그렇다면 반정규화를 해보자.
정규화된 엔터티,속성,관계에 대해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중복, 통합, 분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 기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