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은 그에 맞은 새로운 DB를 만들어줘야한다. 개발용으로는 h2 DB를 많이 사용하는데 새로운 DB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자.
h2를 실행하자.
윈도우 하단 상태바에 h2 DB 아이콘이 생긴다. 위 그림에서 노란색이 h2이다.
우클릭 후에 create a new Database
를 클릭한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
: h2\bin\
경로에 DB파일이 생성된다.~/
: C:\Users\username\
경로에 DB 파일이 생성된다.참고로 password
를 입력하지 않으면은 DB파일이 생성되지 않으니까 참고하자.
h2 DB를 다시 실행해주면 된다.
spring.datasource.url=jdbc:h2:tcp://localhost/~/test
spring.datasource.username=sa
spring.datasource.password=password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h2.Driver
spring.jpa.hibernate.ddl-auto=create
#spring.jpa.properties.hibernate.show_sql=true
spring.jpa.properties.hibernate.format_sql=true
logging.level.org.hibernate.SQL=debug
이거는 스프링에서 설정을 하는 방법이다.
위에 4개는 무조건 작성을 해줘야하는거다. 그래야 EntityManager
를 생성할 수 있다.
spring.jpa.hibernate.ddl-auto=create
이거를 넣어주면은 우리가 @Entity
로 설정한 엔티티들을 기준으로 DDL
을 만들어서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spring.jpa.properties.hibernate.show_sql=true
SQL 쿼리를 콘솔에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spring.jpa.properties.hibernate.format_sql=true
QL 쿼리를 포맷팅하여 가독성을 높이도록 설정한다.
logging.level.org.hibernate.SQL=debug
Hibernate의 SQL 쿼리에 대한 디버그 로그를 활성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