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CP 홈페이지
✏️ 서버 세팅하기
📍 기본 세팅
- 좌측 매뉴
Platform
→ Classic 으로 변경
- Classic - 간단한 모드
- VPC - 전문적인 모드
📍 서버 생성
- 좌측 매뉴 Services → Server → Server 생성
- 수업을 CentOS 로 받았기 때문에 Ubuntu 대신 CentOS 를 선택했다.
- 이미지는 centos-7.8-64 선택

📍 서버 설정
- 스토리지 종류 → HDD
- 서버 이름 임의로 입력
- 나머지 설정은 기본값으로 두고 다음
📍 인증키 설정
- 인증키 이름 임의로 입력
- 인증키는 다른 pc 에서도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cloud 에 저장하는 편이 좋다.
📍 네트워크 접근 설정
- 신규 ACG 생성 - 방화벽이라고 생각하면 됨
- 22 포트
- 접속할 pc
- ip 를 입력해주면 된다.
- 팀원의 ip 까지 2가지 입력해줬다.
- 80, 443 포트
- url 링크로 접속
- app 을 이용할 클라이언트를 위한 포트이다.
- 81 번 포트
- NGINX Proxy Manager 의 접속을 위한 포트이다.
- 3306
- DB 가 접속하기 위한 포트이다.
- DB 는 로컬에서 운영할 계획이기 때문에 나의 ip 를 입력해줬다.

📍 생성완료
- 하단의 생성 완료 버튼을 누르면 server 리스트 페이지로 ㅇ동한다.
- 상태를 확인하면 생성중 이라고 표시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