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의 서버에서 실습하는 상황만 비활성화 하고,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할 땐 적용하면 좋지않다.
✏️ Taint
- Kubernetes 의 node 들은 기본적으로 taint 라고 하는 제약사항이 추가되어있는데,
이 제약사항을 개발자가 직접 추가하거나 제외해 커스텀할 수 있다.
- 그 중 Master node 엔
control-plane
이라고하는 제약사항이 있다.
- 이 제약사항이 활성화 되어있으면 master node 는 worker node 에게 명령만 하게되고,
master node 가 위치한 서버에서는 어떠한 container 도 띄우지 않게 된다.
📍 Control-plane 비활성화
- Control-plane 은 하나의 서버로 연습을 할 때 비활성화 하면 좋은데,
나의 경우엔 서버 비용을 최대한 아끼기 위해서 비활성화 시켜 최대한 서버를 전부 사용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 아래 명령어를 통해 Control-plane 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kubectl taint nodes --all node-role.kubernetes.io/control-plane-
- 이 설정을 끝으로 kubernetes 실습 환경설정이 완료되었다.
-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kubernetes 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Tain 을 비활성화 할 경우 Master node 가 다운되면 모든 Node 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비활성화 하는것을 추천하지는 않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