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ard Theorem을 공부하게 된 이유는 Neural ODE 논문의 Uniqueness 부분에 있었기 때문이다.
Picard Theorem은 Picard-Lindelof theorem, Picard's uniqueness theorem, Cauchy-Lipschitz theorem 으로 불린다.
암튼, 1계 상미분 방정식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의 초깃값 문제의 해의 존재 및 유일성에 대한 정리이다.
정의
D∈R×Rn (closed rectangle)
f:D→Rn locally lipschitz continuity.
(즉, 임의의 x에 대해서 ∀y∈Bδ(x)에 ∣∣f(t,x)−f(t,y)∣∣≤K∣∣x−y∣∣인 상수 δ와 k가 존재한다.)
이때, 1계 initial value problem (IVP) y′(t)=f(t,y(t)), y(t0)=y0 가 구간 [t0−ϵ,t0+ϵ]에서 유일한 해를 가지는 양수 ϵ이 존재한다.
Picard Theorem에 의해서 두가지를 알 수 있다.
1. 해의 존재성 2. 해의 유일성.
Picard-Lindelof theorem은 IVP의 해의 유일성보장 하지만, 만족해야하는 조건이 엄청 간단하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해의 존재성에 대해서 증명을 해보자!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이용한 증명.
y′(t)를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우리는 아직 해를 논할 수 없으니, ϕ(yt)라고 한다.
ϕ(yt)=y0+∫t0tf(s,y(s))ds
증명을 하기위해서 compact 집합 k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k={(t,y)∈D∣∣t−t0∣≤δ,∣∣y−y0∣∣≤δ}, δ는 임의의 수다.
Step 1
ϵ=min(2K1,Mδ)
ϵ의 의미는 ϵ≤2K1 or ϵ≤Mδ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증명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이때, 여기서의 M은 ∣f(t,y(s))∣≤M이다.
Step 2
∣∣ϕ(yt)−y0∣∣=∣∣∫t0tf(s,y(s))ds∣∣≤∫t0t∣∣f(s,y(s))∣∣ds≤M(t−t0) (←∣f(t,y(s))∣≤M 이므로!)
이때, (t−t0)<ϵ이므로,
∣∣ϕ(yt)−y0∣∣=∣∣∫t0tf(s,y(s))ds∣∣≤∫t0t∣∣f(s,y(s))∣∣ds≤M(t−t0)≤MMδ≤δ
즉, ∣∣ϕ(yt)−y0∣∣≤δ이다.
ϕ(y)∈Bδ(y0)⊂D,∀y∈k
Step 3
∣∣ϕ(x)−ϕ(y)∣∣=∣∣∫t0tf(s,x)−f(s,y)ds∣∣≤∫t0t∣∣f(s,x)−f(x,y)∣∣ds
← Lipschitz 정리 이용.
≤∫t0tK∣∣x−y∣∣ds=K∣t−t0∣∣∣x−y∣∣≤Kϵ(x−y) ←ϵ≤2K1
≤K2K1(x−y)=21∣x−y∣
따라서, ϕ는 축소사상이다.
완.
ϕ가 축소사상이므로, 바나흐 고정점원리에 의해 이 공간에서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유일한 해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