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후기 -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4.2

shin·2023년 3월 8일
0

movie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 4.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다운 개념의 구조

  • 먼저 연관된 정보를 묶어주는 큰 덩어리를 찾아야 함.
  • 설명이 가능하고, 모순이 없다면 타당한 그룹핑이라 할 수 있음.
  •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에 적합한 모델을 선택해야 함.
  • 어떤 것이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에 적합한 모델인지 큰 흐름 정도만 파악.
  • RDB에서는 내포관계를 허용하지 않음. => '테이블 속 테이블'과 같은 형태는 적합하지 않음.
  • 모든 정보를 하나의 표로 작성하게 되면,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 수록 컬럼의 개수가 많아짐. 그렇게 되면 하나의 컬럼의 정보만 필요할 때도 많은 컬럼의 데이터를 함께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낭비가 발생. 데이터의 중복이 많아지면, 저장공간이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되고, 동일한 데이터들을 수정하는 데 있어 시간이 많이 걸리고, 실수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음. => 하나의 표에 모든 정보를 모아 놓는 형태는 적합하지 않음.
  • 주제에 따라 테이블을 분류. ex) 글, 저자, 댓글
  • 주제에 따라 데이터를 그룹핑
  • 필요한 테이블의 데이터만 추출할 수 있어 컴퓨터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음.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여러 테이블을 join 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필요한 순간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