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들의 멀티 쓰레드 고민 등에 따라 서블릿 기술이 등장
HTML의 동적 생성이 어려움
JSP
에서 타임리프로 변화 하였습니다.HTML 생성은 편리하지만,
비즈니스 로직까지 작성하여 너무 많은 책임과 역할을 담당하는 문제점 발생
모델, 뷰, 컨트롤러로 역할을 나누어 개발 (관심사 분리)
( Model, View, Controller )
MVC 패턴을 자동화 지원, 복잡한 웹 기술을 편리하게 사용할수있는 다양한 기능지원 합니다.
- 도구(Tool) : 스트럿츠, 웹워크, 스프링 MVC (과거버전)
@Controller
등
📣 스프링 부트의 등장
-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틀" 이라고 생각하면 될것같습니다.
- 스프링 부트는 서버를 내장 ( 무지막지한 기능 )
( 서버 (Tomcat) 를 설치할 필요 X )- 과거에는 서버에 WAS를 직접 설치하고, 소스는 War파일을 만들어서 설치한 WAS에 배포
어노테이션 기반, 멀티 쓰레드 환경 등의 장점을 사용 가능합니다.
( 일반적으로 사용 )
최소 쓰레드 최대 성능, 서블릿 기술 사용 X
❗ 기술적 난이도가 높음, MVC 쓰레드 모델도 충분히 빠르다고 합니다.
( 실무에서 아직 많이 사용 X )